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지난해 농림어업인구 모두 감소... 고령화 현상 심화

▷ 2022년 농림어업인구 모두 감소세... 임가가 4.1%로 가장 크게 감소
▷ 농가, 어가, 임가 모두 65세 고령인구가 가장 많아
▷ 정부의 청년농 육성, 수출 지원 방안... 구조 개선에 도움될까

입력 : 2023.04.19 15:45 수정 : 2023.04.19 15:46
지난해 농림어업인구 모두 감소... 고령화 현상 심화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우리나라의 농림어업인구가 지속적으로 하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통계청의 ‘2022년 농림어업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농가는 총 1023천 가구, 어가는 43천 가구, 임가는 101천 가구로 드러났는데요. 인구로 따지면 농가가 2166천 명, 어가가 91천 명, 임가가 21만 명입니다. 농가가 2.3%, 어가가 3.2%, 임가가 4.1% 모두 전년대비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문제는 농림어업인구의 전체 규모는 줄어들고 있는데, 고령화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농가의 경우, 70세 이상의 농가인구가 전체의 34.9%로 가장 많게 나타습니다. 그 다음이 60(653천 명), 50(342천 명) 등의 순인데요.

 

전년대비 70세 이상 농가인구는 4.9% 증가한 반면, 60대 이하 모든 연령 구간에선 감소했습니다만, 결과적으로 65세 이상의 농가 고령인구 비율은 49.8%2021년보다 3% 늘었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어가와 임가에서도 마찬가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가인구 중 60대는 34.5%, 임가인구는 34%로 가장 많았습니다.

 

정부는 날이 갈수록 심화하는 농촌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출귀농장려 정책을 꺼내 들었습니다.

 

수출의 경우, 농림축산식품부가 전세계 40개국 456개 해외 바이어와 국내 수출기업이 참여하는 ‘2023K-Food 해외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를 개최하는 등의 방안 내놓았습니다.

 

수출액 230억 불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한류를 활용한 신시장 개척, 수출 물류 효율화에 나서겠다고 밝혔는데요. 실제로 이러한 정부의 움직임에 힘입어, 농산품의 대표주자로 불리는 20233월 월누계수출액은 전년대비 131.3% 증가했습니다.

 

특히, 정부는 청년들을 농촌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힘쓰겠다고 전했습니다. 청년농 3만 명 육성을 목표로 3년간 평균 100만 원의 월급 지원, 오는 2027년까지 농촌 노후주택을 10만 호 정비하는 등의 방안도 함께 제시했는데요.

 

청년농스타트업단지 2개소를 조성해 스마트 농업을 농축산업 생산의 30%까지 확대하고, 노지작물의 기계화/자동화를 통해 인건비 등 경영비를 절감시키겠다고도 덧붙였습니다.

 

다만, 이러한 방안들이 청년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내용인지에 대해선 고민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수출 지원 방안이 두텁고, 3년간 3000만 원 가량의 돈을 지원받을 수 있다는 점이 청년에게 있어서 귀농의 매력적인 이유인가 살펴봐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조사한 ‘2022년 귀농, 귀촌 실태조사에 따르면, 귀촌 가구는 농산업 분야 외 직장 취업으로 인해 귀촌을 한 경우가 22.6%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농사를 짓기 위해(승계 또는 창업)’, ‘농사를 짓진 않지만 농산업 종사를 위해’(농업법인 등 취업, 가공/유통 등 창업)1순위로 꼽은 비율은 각각 3.3%, 1.4%에 불과했습니다.

 

귀촌 인구의 연령이 낮을수록, ‘농산업 분야 외 직장 취업기존 직장/사업장이 해당 지역 소재지로 이전되어서의 응답이 높게 나타났는데요. , 청년층이 말 그대로 농업인구가 되기 위해 귀촌을 감행한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다는 이야기입니다.

 

게다가, 귀농 가구가 귀농과 관련해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분은 소득’(38.3%)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가구주 연령 기준 30, 40대 이하에서 각각 41.6%, 42.7%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어릴수록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의 수출 육성 정책은 현장에 있는 청년 귀농인에겐 괴리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출에 용이한 환경을 갖춘, 농축산물 판매금액 1억 원 이상 농가는 전체 농가의 3.8%에 불과합니다. 농축산물 판매금액 1천만 원 미만 농가는 전체 농가의 65.1%이며, 전년보다 비율이 1.2%p 증가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필요한 건, 보다 세밀한 정책이 아닐까 싶습니다.

 

귀농 및 귀촌가구가 영농활동 수행 시 가장 큰 어려움으로 영농기술/경험부족을 꼽았습니다. 그 다음으로 농지 및 시설투자 자금 부족’, ‘운영비 부족’, ‘건강/체력 부족’(과다한 노동력) 등의 순이었는데요.

 

정부는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스마트팜을 제시했습니다만, 스마트팜이 청년농의 부족한 경험과 자금력을 충분히 채워줄 수 있을지에 대해선 의문의 여지가 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절대반대합니다!!!!!! 할랄식품은 이슬람의 돈벌이용 가짜 종교사기 입니다 이단사이비 이슬람에 속아 넘어간 대구 홍카콜라도 정신차려라!!!!! 무슬림들이 할랄식품만 먹는다는것은 다 거짓입니다 인기있는 유명 해외음식도 먹고 술,담배도 다 합니다

2

이슬람 할랄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할랄식품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할랄 식품, 할랄 도축을 주장하는데, 실제 기대하는 효과를 거둘 거라 보지 않습니다. 할랄 도축 포함하여 할랄식품을 취급할 경우 무슬림들과 이슬람 종교지도자들만 종사하게 돼 일자리 창출은 기대난망이고, 수출도 큰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오히려 무슬림들 유입의 통로가 될 뿐입니다. 그리고 할랄 도축은 동물은 잔인하게 죽이는 문제로 동물보호법 위반이기에 반대하며, 우리나라에서 이를 예외적으로 허용해선 안 됩니다.

3

다양성의 가치가 존중되는 2024년에 구시대적인 교육청 인사들의 인식이 아쉬울 뿐입니다. 저런 인식을 가진 사람들이 교육정책을 추진하며, 자의적 해석으로 유아교육, 유아특수교육을 퇴보시키고 있습니다

4

절대반대합니다. 잔인하고 가혹한 도축행위와 무슬림문화유입 자체를 거부합니다.

5

절대 반대합니다. 적극적으로 막아야합니다. 대한민국울 살려야합니다.

6

반대합니다

7

반대합니다 동물을 스트레스 받게 해서 죽이고 먹으면 인간에게도 해롭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