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주키니 호박에 베트남산 고추까지... 먹거리 고를 때 유의해야

▷ 주키니 호박 미승인 유전자 사용 제품 3개 추가 적발
▷ 베트남산 수입 고추에선 잔류 농약 초과 검출

입력 : 2023.04.10 10:00 수정 : 2024.06.11 09:29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최근 국내에 먹거리를 둘러싼 사건사고가 끊이질 않는 것 같습니다.

 

금지된 방부제 성분이 들어있는 중국산 카스텔라 제품이 시중에 널리 유통되는가 하면, ‘주키니 호박에선 미승인 유전자가, 베트남산 고추에선 잔류농약이 초과 검출되었는데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주키니 호박을 원료로 사용한 가공식품 6건에 대한 검사를 실시한 결과, 3개 제품에서 미승인 호박 유전자가 검출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지난 조사에서는 주키니 호박을 사용한 76개사의 108개 제품을 수거, 검사한 결과 2개사의 2개 제품에서 유전자를 발견해 조치한 바 있는데요. 이로써 국내에 들어와 있는 주키니 호박 제품 5개 제품에서 미승인 유전자(LMO)가 검출된 셈입니다.

 

★ 유전자변형생물체(Living Modified Organism, LMO): 인위적으로 유전자를 재조합한 살아있는 생명체, LMO를 수입할 때 반드시 질병관리청의 승인/신고가 이루어져야 한다. 인체위해성 등 심사를 거쳐야 일반 기업이 다룰 수 있다.

 

 

미승인 유전자(LMO)가 검출된 주키니 호박 관련 제품 (출처 = 식약처)



미승인 유전자(LMO)가 검출된 주키니 호박 관련 제품 (출처 = 식약처)


 

이번에 적발된 3개 제품은 식약처가 현재까지 잠정 유통/판매 중단 조치를 해제하지 않은 제품입니다. 유통 경로가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다면, 시중에서 소비자가 해당 제품들을 구매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식약처는 해당 제품을 구매/보관하고 있는 소비자, 유통업자께서는 구입처 또는 제조 업체에 즉시 반품하여 주시기 바란다, 향후 일부 수거하지 못한 제품에 대해서도 신속하게 검사하여 검출이 추가로 확인되면 회수 등 조치해 국민이 안전한 식품을 소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베트남산 고추에선 트리사이클라졸’(trjicyclazole)이라는 잔류농약이 기준치보다 초과 검출되었습니다. 식약처는 이를 판매 중단하고 즉시 회수조치에 들어갔는데요.

 

해당 제품은 제이엠푸트 주식회사’(충남 공주시)대림글로벌푸드’(부산시 강서구)에서 수입한 베트남산 고추와 이를 농업회사법인 다온푸드㈜’(충북 음성군), ‘㈜고추나라’(경북 경산시)에서 소분, 판매한 제품입니다.

 

 

트리사이클라졸이 검출된 베트남산 고추 제품 (출처 = 식약처)


트리사이클라졸이 검출된 베트남산 고추 제품 (출처 = 식약처)

 

 

생산년도는 2021~2022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입량은 총 12 kg에 달합니다. 특히, 제이엠푸드 주식회사가 수입하고 다온푸드㈜가 소분한 베트남 수출업소 PHAM TAN CHILLI 사의 고추를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제품에선 kg당 트리사이클졸라졸이 0.11mg 검출된 바 있습니다.

 

이들 제품에서 검출된 트리사이클라졸은 살균제의 일종으로, 살충제의 역할도 겸하고 있습니다. 농업안전보건센터에 따르면, 발암성이나 변이원성, 생식독성 등의 정보는 없으나 급성독성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주의할 필요가 있는데요.

 

식약처는해당 제품을 신속히 회수하도록 조치했으며, 해당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섭취를 중단하고 구입처에 반품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