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가공식품에 첨가된 '유리당',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 높여
▷ 탄수화물의 '양'보다는 '질'이 중요하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 나와
▷ 유리당 섭취, 불가피하다면 하루 여섯~아홉 티스푼 정도가 적당
![[외신] 가공식품에 첨가된 '유리당',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 높여](/upload/d32216a5284748a3a7c5f73352602ec9.png)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인간은 평소에 쌀이나 밥 등을 통해 탄수화물을 섭취합니다. 탄수화물은 신체활동에 필수적인 에너지이지만, 동시에 과다 섭취했을 경우 비만 등 각종 병마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요.
문제는 탄수화물에 포함된 ‘당류’입니다. 당류를 많은 양 먹게 되면 인슐린 저항성을 높여 당뇨병의 주된 원인이 되곤 하는데요.
이 당류 중에 특히 ‘유리당’(Free sugar), 즉 ‘첨가당’(added sugaer)이 심혈관 질환의 발병 확률을 높일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 유리당: 흔히 첨가당으로 불리며, 사탕, 초콜릿, 빵, 케이크, 콜라 등 가공식품을 조리할 때 넣는 당을 말한다. 설탕이나 물엿, 시럽 등에 들어있다
지난 13일, BMC Medicine 저널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심혈관 질환과 탄수화물 사이의 연관성이 탄수화물의 ‘양’보다는 ‘질’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탄수화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보다는 탄수화물을 신중히 골라서 섭취하는 것이 심혈관 질환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연구진은 UK Biobank로부터 받은 11만 명 이상의 식단과 건강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피험자들은 24시간 동안 음식과 음료를 얼마나 섭취했는지 기록하는 온라인 식단 평가를 2~5회 정도 진행했는데요.
연구진은 9년간의 조사 끝에, 섭취한 탄수화물의 총량이 심혈관 질환과는 큰 관련이 없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다만, 탄수화물의 공급 방식과 종류와 심혈관 질환 간의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 특히 ‘유리당’ 섭취량이 높을수록 심혈관 질환에 걸리기 쉽고, 허리 둘레 역시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NN 曰 “(실험의) 일부 참여자가 유리당을 섭취하면 섭취할수록, 심혈관 질환과 심장
질환, 뇌졸중의 위험은 증가했다.” (“The more free
sugars some participants consumed, the greater thei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heart disease and stroke was”)
유리당은 체내 트리글리세리드 농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트리글리세리드란, 소위 말해 ‘지방’으로 음식물로서 섭취하는 지방질의 9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육류는 물론, 기름과 버터 등에 함유되어 있는데요.
이 트리글리세리드의 농도가 데시리터(1리터의 10분의 1) 당 150mg이 넘을 정도로 수치가 높으면, 관상 동맥 질환 같은 심장 질환을 유발합니다.
결국은 ‘설탕’입니다. 유리당 섭취와 심혈관 질환 사이의 연관성은 신체가 음식에 있는 설탕을 어떻게 대사하느냐에 따라 달려있습니다. 설탕을 다량 섭취해 그것을 소화시키는 과정이 반복될 수록, 심혈관에
가해지는 부담은 심화되는 셈입니다.
브룩 아가월 콜롬비아 대학교 어빙 심장학과 조교수 曰 “첨가당(유리당)은 영양가가 거의 없는 가공식품에서 발견되며, 이는 과식과 과도한 칼로리 섭취를 유발할 수 있고 결국 심장 질환의 주 위험요인 중 하나인 과체중/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Added
sugars are often found in processed foods which have little nutritional value
and may lead to overeating and excess calorie intake, which in turn leads to
overweight/obesity, a well-established risk factor for heart disease”)
문제는 유리당은 설탕이 들어간 가공식품뿐만 아니라, 과일 주스나 퓨레, 꿀 같이 원재료의 세포 구조를 파괴하는 제품에도 함유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리아나 웬 조지 워싱턴 대학 공중보건 교수는 “사람들은 칼로리를 줄이거나 지방이 많은 음식을 먹지 않는 것에 대해 생각하지만, 유리당의 위험성에 대해선 잘 알지 못할 수도 있다”며, 유리당에 대한 느슨한 인식을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시중에 있는 빵, 시리얼,
요거트 등에는 이미 유리당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그렇게 달지 않다고 여겨지는 제품에도 유리당(설탕)을 종종 발견할 수 있습니다.
연구진은 유리당 대신 ‘비-유리당’(non-free sugars)을 섭취하는 걸 권고했습니다. 비-유리당은 원재료 상태의 과일과 채소에서 발견할 수 있는 당류입니다.
또, 마야 아담 스탠포드 의대 소아과 조교수는 ‘좋은 탄수화물’을 적극 추천했습니다.
그는 “모든 식품에 담겨있는 탄수화물은 단당류로 분해되는 데 시간이 걸리는데, 탄수화물 종류 중 하나인 섬유질은 전혀 분해되지 않는다”며, 섬유질은 소화기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세탁용 브러시(internal scrub brush)” 역할을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섬유질이 포도당의 혈중 흡수 속도를 늦추어, 결과적으론 혈당이 치솟는 걸 막아 건강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유리당을 대체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음식은 바로 과일인데, 만약 유리당을 섭취해야 할 경우, 미국심장협회는 하루 칼로리의 6% 미만 수준으로 먹을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는 여성의 경우 하루 약 여섯 티스푼, 남성은 아홉 티스푼의 양입니다.
또, 브룩 아가월 콜롬비아 대학교 어빙 심장학과 조교수는 “피로할 때
단 음식을 찾는 경향이 있으므로, 밤에 적어도 7시간 이상
양질의 수면을 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
6와~~이런 개***회사가 코스닥에 상장 했다니..ㅠ 힘으로 밀어 부치며 불법과 사기로 회사 재무도 건전한 회사가 고의로 상폐시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액주주들 몫!!!ㅠㅠ
7믿지못할 일이 눈앞에서 벌어졌네요. .도대체 주주총회에 왜 주주가 입장이 안되는거죠? 말만 주주총회 입니까!! 이 어처구니없는 사실들이 널리 알려져야겠어요.피같은돈 그냥 지들맘대로 없애려 하다니 대유경영진은 전원 사퇴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