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하청과 교섭 거부한 채 로봇개로 현장 점검 논란
▷전국금속노조 “특별근로감독 등 조치 촉구” ▷안전진단 미실시로 2차 산재 발생 우려
산업 > 기업 | 전희수 기자 | 2025.10.30

노란봉투법 시행 5개월 앞두고 ‘사용자 범위·교섭 촉진’ 후속 조치 시급
▷간접적 영향만으로도 사용자성 성립 가능…노동위 적극 역할 필요 ▷원청 참여 없는 교섭 해결 불가…노동부, ‘가이드라인’ 아닌 촉진 역할 해야
사회·정치 > 정치 | 이수아 기자 | 2025.10.01

화성 공장 화재 사고에...행안부, 재난안전특별교부세 10억원 지원
▶화성시 일차전지 제조업체 아리셀 공장 화재 사고로 30명 사상자 발생 ▶정부, 화재 피해 신속하게 수습하기 위해 화성시에 재난안전특별교부세 10억원 지원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이정원 기자 | 2024.06.25

재점화된 노조 '회계공시' 갈등... "노조 탄압수단" Vs "국민 신뢰 부합하지 않아"
▷ 전국금속노동조합, 정부 노동조합 회계공시 제도 거부 ▷ 고용노동부, "조합원과 국민의 신뢰에 부합하지 않는 결정"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3.04

[폴 플러스] 참여자 10명 중 9명, 정부의 노조 집회∙시위 강경 대응 지지
POLL > Poll Plus | 이정원 기자 | 2023.07.10

역대급 규모의 총파업 예고한 민주노총…내달 3~15일 2주간 진행
▷윤석열 정부 퇴진 요구하는 총파업 예고한 민주노총 ▷양경수, “최근 민주노총이 진행해 온 총파업 중 가장 큰 규모될 것”
사회·정치 > 정치 | 이정원 기자 | 2023.06.28
민주노총 1만 명 대규모 집회..."올려라 최저임금! 철폐하라 비정규직!"
▷24일 최저임금 1만2210원 인상 촉구 전국노동자대회 개최 ▷폐회 후 환경단체가 주최한 日 오염수 방류 규탄대회에 합류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이정원 기자 | 2023.06.24

[인터뷰] 김한주 금속노조 언론국장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사회로 표출하기 위한 투쟁 이어갈 것"
▷김한주 민주노총 금속노조 언론국장과 인터뷰 진행 ▷"노조의 집회∙시위를 불법으로 규정한 정부의 조치는 헌법 정신을 위배한 것" ▷"금속노조는 노동자 권리에 영향을 주는 모든 사안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할 것"
인터뷰 > 인터뷰 | 이정원 기자 | 2023.06.23

대우조선해양 파업, '임금 인상'에서 '손해배상 소송'으로
▷ 대우조선해양 파업, 노조 측 "임금 인상 5%", 사측 "임금 인상 4.5%" ▷ 합의안 윤곽 드러났지만...사측, "손해배상 소송 취하 안 해" ▷ 법조계, "노사 합의 과정에서 손해배상 소송 취하하는 경우 多"지만... 취하하지 않은 경우도 많아"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김영진 기자 | 2022.07.21

대우조선 희망버스 Vs 공권력
▷ 끝이 보이지 않는 대우조선해양 파업, 공권력 투입 생각하는 정부 ▷ 전국금속노조, "희망버스로 하청업체 노동자 돕겠다" ▷ 7.23, '대우조선 희망버스' 거제도로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김영진 기자 | 2022.07.20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