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신] 이스라엘-헤즈볼라 휴전 임박
▷ 미국 주도 60일 휴전안 마련 ▷ 화요일 이스라엘 내각 표결이 '분수령'
종합 > 국제 | 이필립 기자 | 2024.11.26

[외신] 트럼프, 초고속 장관급 인사... 지명자 과거 이력 논란
▷ 바이든·오바마의 5배 속도 ▷ 기독교극단주의자, 백신 음모론자 등 중용
종합 > 국제 | 이필립 기자 | 2024.11.19

美, 한국 군사위성 발사 비판 쏟아낸 북한에 “한국은 제재 대상 아냐”
▷미 국무부, 한국 군사위성 발사 두둔 ▷북한, “미국과 적대세력 감시할 수 있는 능력 조성하기 위한 중대한 임무 결행해 나갈 것”
종합 > 국제 | 이정원 기자 | 2023.12.05

두차례 실패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군사정찰위성 발사 단행하는 北
▷北, 오는 22일부터 내달 1일 사이 인공위상 발사 일본에 통보 ▷기시다, “인공위성이라도 탄도미사일 기술 사용하면 유엔 안보리 위반”
종합 > 국제 | 이정원 기자 | 2023.11.21

이스라엘 재방문한 블링컨...바이든도 방문 예정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16일 이스라엘 재방문해 지지 거듭 강조 ▷오는 18일 바이든 대통령도 이스라엘 방문 예정
종합 > 국제 | 이정원 기자 | 2023.10.17

[외신] 바이든 이란에 '경고', 이스라엘에 '국제법 준수' 당부
▷"반유대주의를 규탄하고 이와 싸울 것" ▷블링컨 미 국무부장관, 오늘 이스라엘 도착 예정
종합 > 국제 | 류으뜸 기자 | 2023.10.12

한미 외교·국방 고위급 회담 열려... "긴밀한 협력 재확인"
▷ 외교부 - 미국 국무부 정보조사국 만남..."북-러 군사협력 심각한 우려" ▷ 제23차 한미 통합국방협의체(KIDD) 개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
사회·정치 > 정치 | 김영진 기자 | 2023.09.19

[외신] 美-中 관계의 걸림돌 4가지
▷ 미중 경제 갈등 심화... 중국, 반도체 원자재 수출 통제 ▷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으로 깊은 관계 유지하는 미중
종합 > 국제 | 김영진 기자 | 2023.07.07

전경련 “韓, G8 역할 수행할 충분한 경쟁력 갖춰”… 美 ”논의 없다”
▷전경련, “한국 G7 회원국에 상응하는 경쟁력 있어” ▷G8 확대 가능에 대해 미 국무부 “알지 못한다”
종합 > 국제 | 이정원 기자 | 2023.05.18

앞으로 성∙노동 착취도 인신매매에 포함...정부 인신매매 개념 확대 나서
▷정부, 인신매매 개념 성적 착취, 노동력 착취 등까지 포함 시켜 ▷”피해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한 조치를 위한 다양한 지원 나설 것”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이정원 기자 | 2023.03.28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