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차례 실패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군사정찰위성 발사 단행하는 北
▷北, 오는 22일부터 내달 1일 사이 인공위상 발사 일본에 통보
▷기시다, “인공위성이라도 탄도미사일 기술 사용하면 유엔 안보리 위반”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북한이 오는 22일부터 내달 1일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일본 정부에 통보했습니다. 앞서 북한은 지난 5월과 8월에 군사 정찰 위성 발사를 실시했지만, 모두 실패로 끝난 바 있습니다. 이후 10월 재발사를 예고했지만 실행으로 옮기지 못한 채 침묵을 지켜왔습니다.
21일 NHK 방송에 따르면
북한은 일본 해상보안청 해양정보부에 22일 오전 0시부터
12월 1일 오전 0시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한다는 내용의 메일을 전달했습니다.
인공위성 발사 잔해물 낙하 예상 지역은 북한 남서쪽의 서해 해상 등 2곳과
필리핀 동쪽 태평양 해상 1곳으로 총 3곳입니다. 이들 구역은 모두 일본 배타적 경제수역(EEZ) 외곽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에 일본 해상보안청은 해당 해역을 대상으로 항행경보를 내리고 선박을 대상으로 낙하물에 주의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회원국이 다른 회원국의 선박 항행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군사훈련 등을 실시할 경우 미리 통보할 의무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IMO 정회원국입니다.
앞서 북한은 지난 5월과 8월
발사 전에도 일본과 IMO에 발사 예고 기간 등을 통보한 바 있습니다.
북한의 인공위상 발사 예고 후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정보
수집과 국민에 대한 정보 제공에 만전을 기할 것과 관계국과 협력하여 발사 중지를 요구할 것, 예상치
못한 사태에 대비해 만전을 기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습니다.
기시다 총리는 이어 “인공위성 발사를 목적으로 한 것이라도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한다면 유엔의 안보리 결의 위반이며 국민 안전에도 관여된 사안”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예상치 못한 사태에 대비해 자위대 이지스함과
오키나와 지상배치형 요격미사일(PAC3)부대가 필요한 태세를 구축하고 있다”며 “계속해서 정보 수집에 만전을 기하면서
한미일 등에 공유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일본 외무성은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 통보 후 미국 국무부 정박 대북특별부대표와 김건 외교부 한반도 평화교섭본부장과
전화 통화를 갖고 북한에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위성 발사 중지를 강하게 요구하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안보 협력을 포함한 지역 억지력과 대처력 강화, 안보리의 대응
등에 대해서도 3개국이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