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선생님은 너무 좋은 선생님이셨습니다”…故 현승준 교사 제자들, 추모편지 모아 고인의 뜻 나누고파

▷제자들, 자발적 인터뷰 통해 “선생님 뜻 널리 알리고 싶다”
▷교사노조 “교사 보호는 사회 전체의 과제…제도적 대책 시급”

입력 : 2025.05.27 10:03
“선생님은 너무 좋은 선생님이셨습니다”…故 현승준 교사 제자들, 추모편지 모아 고인의 뜻 나누고파 지난 26일 오후 5시, 제주교사노동조합 사무실(제주시 청사로 8, 5층)에서 故 현승준 교사의 제자들과의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는 이보미 교사노조연맹 위원장(사진=교사노조연맹)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교사노조연맹과 제주교사노조는 지난 26일, 제주교사노동조합 사무실에서 故 현승준 교사의 제자들과 함께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번 자리는 고인을 기리고, 그가 남긴 교육적 헌신과 따뜻한 가르침을 사회에 전하고자 제자들이 자발적으로 마련한 것이다.

 

제자들은 “선생님은 너무 좋은 선생님이셨습니다”라는 문장으로 시작되는 추모 편지를 모아 고인의 뜻과 기억을 사회에 나누기로 결심했다. 이들은 “그대로 선생님이 잊혀지는 것을 지켜볼 수 없어 친구들과 함께 용기를 냈다”며, “선생님의 따뜻한 마음과 교육에 대한 헌신을 모두가 기억해주었으면 한다”고 전했다. 편지에는 고인을 향한 진심어린 존경과 그리움, 그리고 그의 죽음을 둘러싼 안타까움이 고스란히 담겼다.

 

특히 이들은 “선생님의 억울한 죽음의 진실이 밝혀지고, 더 이상 선생님들이 이런 비극을 겪지 않도록, 보다 나은 교육환경이 조성되길 바란다”는 바람도 함께 전했다.

 

이보미 교사노조연맹 위원장은 “2023년 서이초 사태 이후 학교 현장은 변하지 않았다”며, “여전히 교사들은 늦은 밤까지 민원에 시달리고, 아동학대 고소 협박이나 실제 고소 사례는 오히려 증가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제는 교사의 죽음을 개인 문제로 치부할 수 없다. 제도적 지원 없이는 교사 스스로를 보호하기 어려워졌다"며, "민원 창구 일원화, 반복적·악성 민원 종결 권한 부여 및 전담기관 이관, 교사 개인정보 보호 등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정우 제주교사노조 위원장은 “교사에게 교권은 주지 않고 사명감만을 강요하는 현실은 이제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며, “교사를 지키는 일은 교육계만의 과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가 함께 나서야 할때이며, 학교는 학생뿐 아니라 교사에게도 안전한 공간이어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번 인터뷰는 단순한 추모를 넘어, 교사 보호와 교육환경 개선이라는 사회적 논의의 장으로 그 의미를 확장시켰다. 교사노조연맹은 고인의 뜻을 잊지 않고, 교육 현장의 목소리를 제도 개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활동을 지속해나갈 방침이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