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트럼프, 초고속 장관급 인사... 지명자 과거 이력 논란
▷ 바이든·오바마의 5배 속도
▷ 기독교극단주의자, 백신 음모론자 등 중용
![[외신] 트럼프, 초고속 장관급 인사... 지명자 과거 이력 논란](/upload/e6b3210f36cf4fc49c601188d93a464e.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사진=연합뉴스)
								[위즈경제] 이필립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내각 구성을 파격적인 속도로 마무리했다. 이 같은 인선과 함께 각 지명자의 과거 이력이 논란이 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 CNN,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는 지난 7일부터 14일까지 8일 만에 장관급 인사 12명 등 2기 행정부 관료를 지명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비슷한 규모의 인선에 40일 가까이 걸린 것과 비교하면 5배 빠른 속도다. 8년 전 첫 당선 당시에는 한 달이 지나서야 첫 각료를 발표했던 것과도 대조적이다.
◇ 논란의 인사 잇따라
일각에서는 일부 지명자들의 과거 이력이 논란이 되고 있다.
폭스뉴스 앵커 출신인 피트 헤그세스(Pete Hegseth) 국방부 장관 지명자는 성폭행 혐의로 자신을 신고한 여성에게 사건 비공개를 대가로 합의금을 지급한 사실을 시인했다.
또한 그는 십자군 문양, 중세 십자군 전쟁 구호인 '데우스 불트(Deus Vult, 하나님의 뜻)' 등 기독교 극단주의 상징을 문신으로 새겨 구설에 오르기도 했다. 그는 2020년 저서 '미국 십자군(American Crusade)'에서 "좌파가 곳곳에 숨어 미국에 실존적 위협을 가하고 있다"며 "미국은 좌파의 재앙 아래 있다"고 주장했다.
지난 7일 팟캐스트 방송 '션 라이언 쇼' 인터뷰에서는 "DEI(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다양성·형평성·포용성) 프로그램 등 군에서 소수자 운동에 관여한 장군은 모두 해고해야 한다"고 말하는 등 군대 내 다양성 정책 수정을 예고했다.
법무부 장관으로 지명된 맷 게이츠(Matt Gaetz) 하원의원은 17세 소녀와의 성매매 의혹으로 2021년에 연방수사국(FBI)과 법무부의 조사를 받은 이력이 있다. 그는 하원 내 공화당 의원 모임인 '프리덤 코커스' 핵심 인물로, 트럼프는 그를 통해 "사법제도의 당파적 무기화를 종식시키겠다"고 밝혔다. 게이츠의 성매매 의혹 조사가 정치 공세라는 주장으로 풀이된다.
트럼프는 유세 중 '미국 의사당 습격 사건(January 6 Attack on the United States Capitol)' 가담자 1500명 중 일부를 사면하겠다고 여러 차례 약속한 바 있다. 게이츠는 가담자 사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의사당 습격 사건: 지난 2021년 1월 6일, 조 바이든의 대통령 선거 승리를 의회에서 공식 확인하는 날에 발생했다. 당시 트럼프는 백악관 근처 집회에서 "우리는 결코 항복하지 않는다"며 지지자들에게 의회로 행진할 것을 촉구했다. 수천 명의 트럼프 지지자가 의회 의사당으로 난입해 5명이 사망하고, 100명 이상의 경찰관이 부상을 입었다.
'백신 음모론자'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Robert F. Kennedy Jr.)의 보건복지부 장관 지명은 의료계의 강한 우려를 낳고 있다. 그는 지난 20년 간 "백신이 자폐증을 유발한다"고 주장해왔고, 2015년에는 백신 접종이 홀로코스트와 같다고 말했다. 미국 의학연구소(Institute of Medicine)은 2004년 보고서에 자폐증과 백신 사이 연관성이 없음을 밝힌 바 있다.
지난해 7월, 그는 코로나19가 "백인과 흑인을 공격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음모론을 폈고, 동물 구충제인 이버멕틴으로 코로나19를 완치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식품의약국(FDA)은 이버멕틴을 코로나19 치료제로 승인한 바 없다.
케네디 주니어는 장관 취임 시 FDA와 국립보건원(NIH)의 대대적 개편을 예고했다.
◇ 대외정책 '매파' 인사 지명
트럼프는 플로리다 출신 마르코 루비오(Marco Rubio) 상원의원을 국무부 장관으로 지명했다. 미국 최초의 라틴계 국무장관 지명자인 루비오는 중국, 이란, 쿠바 등에 대한 강경파로 알려져 있다. 최근 몇 년간 일부 입장을 완화했지만, 여전히 미국의 지정학적 적대국들에 대해 양보 없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는 한반도 정책에 깊은 관심을 보인 인물이기도 하다. 2014년 비무장지대를 방문해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2022년에는 윤석열 대통령의 대중(對中) 정책 재평가를 '고무적'이라고 평가했다. 윤 대통령은 양안관계를 두고 "우리는 힘에 의한 현상 변경에 절대 반대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힌 바 있다.
2024년 7월에는 한미일 다영역 군사 훈련인 '프리덤 에지(Freedom Edge)'소식을 자신의 SNS에 공유하며, "중국 압박을 위한 한미일 3국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국가안보보좌관으로는 그린베레(Green Berets, 미 육군 특전부대) 출신의 마이크 월츠(Mike Waltz) 하원의원이 지명됐다. 아프가니스탄, 중동, 아프리카 등지에서 복무한 월츠는 하원 군사위원회와 외교위원회에서 대중 강경파로 활동했다. 상원 인준이 필요 없는 국가안보보좌관은 주요 안보 사안에서 트럼프와 직접 소통하게 된다.
한편, 트럼프는 지난 10일(현지시간) SNS를 통해 공화당 상원의원이 "휴회 임명(Recess Appointment)에 동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상원이 휴회할 경우 청문회, 표결 등 인준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사실상 상원 인준 없이 공직자를 임명하도록 해달라 요청한 것으로 풀이된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