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고물가로 서민들의 고통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주요 햄버거 업체들이 줄줄이 가격 인상에 나섰습니다.
맥도날드는 오는 16일부터 일부 메뉴의 가격을 조정한다고 10일 밝혔습니다. 지난해 8월
이후 6개월 만에 다시 가격 인상에 나선 것입니다.
주요 메뉴 판매가격은 평균 5.4% 상향 조정해 메뉴별로 가격이 100~400원 오릅니다.빅맥과 맥스파이시 상하이 버거 단품은 4900원에서 5200원으로 300원씩
인상됩니다. 맥크리스피 디럭스 버거 단품은 6700원에서
100원 올라 6800원에 판매됩니다.
탄산음료와 커피도 100~300원 오릅니다.
맥도날드 관계자는 “계속되는 물가 상승에도 고객에게 최상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이번 가격 조정을 결정했다”며 “맥런치∙해피 스낵
등 플랫폼에서 인기 메뉴를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하고 고객 리워드 프로그램인 ‘마이 맥도날드 리워드’를 통해 다양한 할인 혜택을 지속해서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맥도날드과 함께 롯데리아와 노브랜드버거, KFC도 지난해 이어 올해도
가격을 올립니다.
롯데리아는 8개월 전에 이어 이달에도 제품 판매 가격을 평균 5.1%인상했습니다. 이에 롯데리아의 대표 메뉴인 불고기버거와 새우버거의
단품 가격은 4500원에서 4700원으로 올랐습니다.
가성비 햄버거로 유명한 노브랜드도 이달 15일부터 제품 가격을 평균
4.8% 인상합니다. 6개월 전에도 가격을 올렸지만 또 한
차례 가격을 올리기로 한 것입니다.
이로 인해 대표 메뉴인 NBB 오리지널 세트 가격은 200원 오른 5400원으로, NBB
시그니처 세트는 400원 오른 6300원에 판매합니다.
신세계푸드 관계자는 “매장 운영에 소요되는 제반 비용의 상승으로 부담이
커진 가맹점주의 수익을 보전하기 위해 가격 인상을 정했다”면서 “인상폭을
최소화했다”고 말했습니다.
신세계푸드의 이번 노브랜드 버거 가격 인상은 지난해 8월 5.5% 인상 이후 6개월 만입니다.
이처럼 외식 물가가 계속 상승하면서 국민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1월 외식 물가 상승률은 7.7%로 1992년 14.4% 이후
3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외식 물가 전 품목(39개)이
전년 동월 대비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밥이 11.0%로
가장 높았고, 떡볶이 10.6%, 칼국수 10.3%, 짜장면 10.3%, 라면 10.3% 순이었습니다.
우려스러운 점은 외식 물가 상승세가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입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조리용 원재료 중 하나인 밀과 식용유 등 가격이 급등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제유가 상승도
운송료 부담을 늘려 식자재 비용 상승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또한 공공요금 인상도 전년 동월 대비 28.3% 오르면서 외식 물가
상승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어 서민층 물가 부담을 앞으로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