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고물가로 서민들의 고통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주요 햄버거 업체들이 줄줄이 가격 인상에 나섰습니다.
맥도날드는 오는 16일부터 일부 메뉴의 가격을 조정한다고 10일 밝혔습니다. 지난해 8월
이후 6개월 만에 다시 가격 인상에 나선 것입니다.
주요 메뉴 판매가격은 평균 5.4% 상향 조정해 메뉴별로 가격이 100~400원 오릅니다.빅맥과 맥스파이시 상하이 버거 단품은 4900원에서 5200원으로 300원씩
인상됩니다. 맥크리스피 디럭스 버거 단품은 6700원에서
100원 올라 6800원에 판매됩니다.
탄산음료와 커피도 100~300원 오릅니다.
맥도날드 관계자는 “계속되는 물가 상승에도 고객에게 최상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이번 가격 조정을 결정했다”며 “맥런치∙해피 스낵
등 플랫폼에서 인기 메뉴를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하고 고객 리워드 프로그램인 ‘마이 맥도날드 리워드’를 통해 다양한 할인 혜택을 지속해서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맥도날드과 함께 롯데리아와 노브랜드버거, KFC도 지난해 이어 올해도
가격을 올립니다.
롯데리아는 8개월 전에 이어 이달에도 제품 판매 가격을 평균 5.1%인상했습니다. 이에 롯데리아의 대표 메뉴인 불고기버거와 새우버거의
단품 가격은 4500원에서 4700원으로 올랐습니다.
가성비 햄버거로 유명한 노브랜드도 이달 15일부터 제품 가격을 평균
4.8% 인상합니다. 6개월 전에도 가격을 올렸지만 또 한
차례 가격을 올리기로 한 것입니다.
이로 인해 대표 메뉴인 NBB 오리지널 세트 가격은 200원 오른 5400원으로, NBB
시그니처 세트는 400원 오른 6300원에 판매합니다.
신세계푸드 관계자는 “매장 운영에 소요되는 제반 비용의 상승으로 부담이
커진 가맹점주의 수익을 보전하기 위해 가격 인상을 정했다”면서 “인상폭을
최소화했다”고 말했습니다.
신세계푸드의 이번 노브랜드 버거 가격 인상은 지난해 8월 5.5% 인상 이후 6개월 만입니다.
이처럼 외식 물가가 계속 상승하면서 국민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1월 외식 물가 상승률은 7.7%로 1992년 14.4% 이후
3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외식 물가 전 품목(39개)이
전년 동월 대비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밥이 11.0%로
가장 높았고, 떡볶이 10.6%, 칼국수 10.3%, 짜장면 10.3%, 라면 10.3% 순이었습니다.
우려스러운 점은 외식 물가 상승세가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입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조리용 원재료 중 하나인 밀과 식용유 등 가격이 급등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제유가 상승도
운송료 부담을 늘려 식자재 비용 상승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또한 공공요금 인상도 전년 동월 대비 28.3% 오르면서 외식 물가
상승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어 서민층 물가 부담을 앞으로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