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진정되는 물가?...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5.0%, 9월보다 줄어
▷ 11월 소비자물가지수 109.10... 전월대비 0.1% ↓
▷ 전월대비 농축수산물 물가 떨어졌지만, 공업제품은 ↑
▷ 美에서도 PCE 인플레이션 하락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우리나라 경제를 괴롭히고 있는 ‘인플레이션’, 이 인플레이션이 점차 진정되고 있다는 지표가 나왔습니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2022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5.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지난 9월과 10월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전년동월비)이 각각 5.6%, 5.7%라는 점을 감안해보면, 0.7% 줄어들어 상승폭이 꺾인 셈입니다.
더군다나, 지난 10월과 비교했을 때 11월에는 소비자물가지수의 하락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1월 총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1% 떨어진 109.10으로, 농축수산물 물가가 4.3% 감소하면서 하락세를 견인했는데요.
전기와 가스, 수도세는 지난 10월, 공공요금 인상의 영향을 받은 뒤로 11월에는 변동이 없습니다. 집세나 공공서비스, 개인서비스도 전월대비 물가의 차이가 없으며, 공업제품만 0.8% 올랐습니다.
눈에 띄는 부분은 농축수산물 물가의 안정세입니다. ‘생활물가지수’는 소비자들의 지출비중이 높고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을 대상으로 작성되는데요.
이 ‘생활물가지수’ 중, ‘식품’은 지난 10월 대비 지수가 1.3% 감소했습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보면 상승률이 6.3%, 10월(8.3%)보다 상승폭이 줄어들었습니다.
과일이나 채소, 생선 등 55개 품목을 대상으로 한 ‘신선식품지수’ 역시 전월대비 8.0% 하락했으며, 전년동월대비 0.8% 올랐습니다. 지난 10월의 전년동월대비 신선식품지수 상승률이 11.4%라는 점을 감안하면 농축수산물의 물가 상승폭이 크게 줄어든 셈입니다.
농축수산물의 물가가 비교적 안정된 데에는 정부가 마련한 대책이 효과를 본 듯합니다. 정부는 본격적인 김장철을 맞아 서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려 노력했는데요. 배추, 굴 등을 시장에 푸는 건 물론, 활발한 할인 행사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그 영향으로 11월 배추값은 전월대비 -45.9%, 무값이 -34.7%, 오이값이 -24.3%, 돼지고기값이 -3.6% 떨어졌습니다.
물론, 지난달에 비해서 소비자 물가가 소폭 안정되었을 뿐, 지난해와 비교하면 여전히 경제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전년동월대비 서비스와 공업제품, 각종 공공요금의 물가는 대폭 올랐습니다. 전기/가스/수도 물가가 지난해 11월 대비 23.1%나 상승했고, 공업제품은 5.9%, 서비스가 4.1%, 농축수산물이 0.3%로 사실상 모든 품목이 오름세를 탔는데요.
특히, 다가오는 겨울 서민들의 난방비 부담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도시가스가 무려 전년동월대비 36.2%, 지역난방비가 34%, 전기세가 18.6% 올랐기 때문입니다. 서비스 부문 중 ‘집세’ 역시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1.6% 상승하면서 공공서비스/개인서비스의 등락률보다 높았습니다.
11월 소비자물가지수를 지역 별로 살펴보면, 제주도의 물가가 9월을 정점으로 점차 내려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11월 제주도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09.97, 전월에 비해서 0.4% 떨어졌는데요.
이는 우리나라 내에서 가장 큰 하락폭입니다.
물론, 전년동월대비 제주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3%로 경상북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상황이며, 외식 물가도 0.1% 올랐습니다.
미국의 상황도 우리나라와 유사합니다. 지난 10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7.7%, 시장의 전망치를 하회하면서 발표 당시 시장에 훈풍을 불어넣은 바 있는데요.
세계 경제를 좌지우지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OMC)는 ‘개인소비지출(PCE)’란 지표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FOMC가 세우는 경제 정책에는 PCE의 영향이 짙게 반영되는데요. 이 PCE란 지표 역시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1월 30일(현지시각), 제롬 파월 FOMC 의장은 지난 10월의 PCE 인플레이션이 1년 동안 6.0% 올랐다고 밝히면서, “(…) 식품 및 에너지 인플레이션 요소를 생략한 핵심 PCE 인플레이션에 초점을 맞추겠다”고 전했습니다.
파월 의장이 중요성을 강조한 이 ‘핵심 PCE 인플레이션’(Core PCE inflation)은 전년 동월보다 5.0%, 전월보다 0.2% 오르면서 지난 9월의 상승폭보다 소폭 떨어졌습니다.

댓글 1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3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4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5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6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7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