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숨가쁘게 달린 FOMC... 12월 금리 인상 속도 늦출 수도
▷ 제롬 파월 FOMC 의장, "이르면 12월에 금리 인상 속도 늦출 수 있어"
▷ 단, 금리 인상 기조 자체는 여전히 필요하다고 언급
![[외신] 숨가쁘게 달린 FOMC... 12월 금리 인상 속도 늦출 수도](/upload/04d59a4f5ded4623b532d61d5d645962.jpg)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세계 경제의 향방을 가르는 핵심 인물이라고 할 수 있는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그가 오는 12월이면 美 기준 금리의 인상 속도를 낮출 수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현 시점의 미국 기준금리는 지난 6월부터 가파르게 올라 4.00%에 도달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OMC)가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 인상)을 4차례 연속으로 감행한 결과물인데요.
당시 파월 의장은 기준 금리 인상을 늦출 수 없다며 확고한 의지를 표명한 바 있는데, 이번엔 인상 속도를 늦출 수도 있다고 언급한 셈입니다.
다만, 금리 인상의 속도만 조절할 뿐 금리를 인상한다는 긴축 정책의 기조 자체가 바뀌는 일은 없을 것이라 선을 그었는데요.
제롬 파월 FOMC 의장 曰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충분한 제한 수준에 도달함에 따라, 금리 인상 속도를 누그러뜨리는 게 합리적이다. 그 시기는 빠르면 12월 (FOMC)
회의 때가 될 것이다” (“Thus, it makes sense to moderate the
pace of our rate increases as we approach the level of restraint that will be
sufficient to bring inflation down. The time for moderating the pace of rate
increases may come as soon as the December meeting.”)
미국 현지시각으로 지난 30일, 제롬 파월 FOMC 의장은 ‘(미국의) 인플레이션과 노동 시장’을 주제로 연설을 진행했습니다.
미국 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해 그간 미국연방준비제도가 한 노력들을 짚어보는 시간이었는데요.
먼저, 파월 의장은 FOMC가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큰 고난이 가중되고 있으며, 예산은 압박을 받고 급여는 줄어들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현 경제의 어려운 상황이) 음식, 주택, 교통 등의 높은 비용을 감당할 능력이 거의 없는 사람에게
특히 고통스럽다”고 덧붙였는데요. 파월 의장은 그동안 보여준
언동과 마찬가지로 물가 안정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물가 안정 없이는, 경제는 그 누구에게도 소용이 없다”면서 그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제롬 파월 FOMC 의장 曰 “물가
안정은 연준의 사명이며, 우리 경제의 기반 역할을 한다”(“Price
stability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Federal Reserve and serves as the
bedrock of our economy”)
파월 의장은 10월 인플레이션 상황을 살펴볼 때, 반가운 신호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긍정적으로 설명했지만, “인플레이션이 실제로 감소하고 있다는 위안을 주기 위해선 훨씬 더 많은 증거가 필요하다”(“It will take substantially more evidence to give comfort that inflation is actually declining”)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어떤 기준으로 따져 봐도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다”고 전했는데요. 앞선 두 달보다 10월엔 인플레이션이 비교적 안정되었지만, 여전히 인플레이션의 수준 자체가 높아 경제적으로 어렵다는 이야기입니다.
파월 의장은 “앞으로 인플레이션이 어떻게 될지 매우 불확실하다”며, 인플레이션을 정확히 전망하는 건 쉽지 않은 일임을 전했습니다.
그는 기준 금리 인상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되짚었습니다. “우리는
인플레이션을 2%대로 되돌리기 위해선, 충분히 제한적인 수준으로
기준 금리를 올려야 한다”며, “직전의 성명서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는 (기준 금리의) 지속적인 인상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는데요.
제롬 파월 FOMC 의장 曰 “지난
9월의 회의와 경제 요약 전망 당시 생각했던 것보다 최종 기준금리의 수준은 더 높아야 할 것 같다” (“It seems to me likely that the ultimate level of rates will need
to be somewhat higher than thought at the time of the September meeting and
Summary of Economic Projections”)
기준 금리의 인상, 즉 재정 긴축 정책은 수요의 억제를 목표로 합니다. 파월 의장은 “수요의 성장이 둔화되면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이며, 시간이 지나면서 안정적인 가격이 형성될 수 있는 균형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고 설명했는데요.
이를 위해선 수요가 성장하는 것을 억누를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을 ‘핵심 상품’, ‘주거’, ‘주거 이외의 핵심 서비스’로 나누어 치밀하게 분석하는 한편, 노동 시장에 대한 분석도 덧붙였습니다.
“노동 시장에서 근로자에 대한 수요는 가용 근로자의 공급을 훨씬 초과했다”며, “노동시장의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회복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제롬 파월 의장 曰 “돌이켜 보면,
팬데믹 기간 동안 심각하고 지속적인 노동 공급 부족이 발생했다는 걸 볼 수 있다. 이러한
공급 부족은 이른 시일 내 완벽히 해결될 것 같지는 않다”(“Looking back, we can see
that a significant and persistent labor supply shortfall opened up during the
pandemic—a shortfall that appears unlikely to fully close anytime soon”)
파월 의장은 “많은 전문가들이 (노동 시장에 대한) 참여가 펜데믹 이전 수준으로 상당히 빠르게 돌아갈 것으로 전망했다”면서, “그러나 (노동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참여가 펜데믹 이전 추세보다 훨씬 낮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는 즉, 코로나19가 한창 유행할 무렵, 미국의 노동자들은 감염에 대한 두려움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노동 시장에 참여하지 않았기에 전문가들은 팬데믹이 완화되면 노동자들이 시장으로 대부분 돌아올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그런데 이 전망이 빗나갔다는 이야기입니다.
파월 의장은 “초과 은퇴”(“excess retirement”)가 노동 시장 수요/공급 불균형의 원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코로나19가 고령층의 생명과 삶을 위협하는 데 큰 역할을 했기 때문에, 건강 문제가 분명히 큰 역할을 했다”며, “많은 고령 근로자가 역사적으로 정리해고가 많았던 팬데믹 초기에 일자리를 잃었다”고 덧붙였는데요.
제롬 파월 FOMC 의장 曰 “고령
근로자들은 여전히 높은 비율로 퇴직하고 있다” (“Older workers are still
retiring at higher rates…”)
파월 의장은 노동 시장의 공급이 부족한 두 번째 이유로 ‘노동 인구의
느린 성장’을 들었습니다. 일을 할 수 있는 노동자들이 부족하다는
뜻입니다.
제롬 파월 FOMC 의장 曰 “현재
실업률은 3.7%로 근 50년 만에 최저 수준이며, 일자리는 가용 근로자들보다 약 400만 개 정도 더 많다. 이는 구직자 한 사람 당 1.7개의 일자리 수준이다” (“Currently, the unemployment rate is at 3.7 percent, near 50-year
lows, and job openings exceed available workers by about 4 million—that is
about 1.7 job openings for every person looking for work”)
파월 의장은 경제 활동의 둔화, 상품 가격 인플레이션의 완화 등 대부분
인플레이션이 내년이면 하락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밝혔습니다만, “몇 가지 유망한 발돋움에도
불구하고, 우린 아직 물가 안정을 회복하기 위해 갈 길이 멀다”고
설명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