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한은, 베이비스탭 단행...배경은?

▷기준금리 3.00%에서 3.24%로 0.25%p 올라
▷물가 꺾이지 않아...기대인플레이션도 5개월째 4%

입력 : 2022.11.24 17:10 수정 : 2022.11.24 17:11
한은, 베이비스탭 단행...배경은? 이창용 한은총재. 출처=한국은행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P 올리는 베이비스텝을 단행했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잡기 위해 지난 4월 첫 금리 인상을 단행한 이후 이번이 여섯 번째입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24일 다음 통화정책방향을 결정하기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3.00%에서 3.25% 0.25% 상향 조정해 통화정책을 운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금통위가 이번에도 금리인상을 단행한 것은 아직 물가 오름세가 뚜렷하게 꺾이지 않았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10월 소비자물가지수(109.21)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했을 때 5.7% 올랐습니다. 상승률이 7(6.3%) 정점 이후 8(5.7%), 9(5.6%) 떨어지다가 다시 석 달 만에 높아졌습니다.

 

경제 주체들이 예상하고 있는 미래 인플레이션을 뜻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일반인) 11 4.2% 10(4.3%)보다 낮아졌지만, 7월 역대 최고 기록(4.7%) 이후 다섯 달째 4%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지난 2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이례적인 4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p인상)으로 최대 1%까지 벌어진 한국(3.00%)과 미국(3.75~4.00%)의 기준금리 차이도 이번 인상의 주요 배경으로 꼽힙니다.

 

달러와 같은 기축통화가 아닌 원화 입장에서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크게 낮아지면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위험이 커집니다.

 

오늘 단행한 베이비스텝으로 미국과의 격차는 0.75%p로 좁혀졌습니다. 그러나 다음달 연준이 빅스텝을 밟으면 격차는 1.25%로 다시 확대될 전망입니다.

 

이처럼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한 가운데 한은은 10월에 이어 연속 빅스텝을 밟지 않았습니다. 이는 우리나라 시각으로 오늘 새벽 공개된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 11월 정례회의 의사록 내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의사록에 따르면 지난달 자이언트스텝 결정 당시 다수의 FOMC 위원들은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에 동의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