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심리지수 전월 대비 2.6p 하락…물가인식 역대 ‘최대’
▷한은 "2022년 10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발표
▷10월 소비자물가지수 88.8…경기둔화 우려가 원인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 국민들의 체감경기를 대변해주는 소비자심리지수가 다시 하락했습니다. 높은
물가상승세가 지속되고 주요국 금리인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따른 경기둔화 우려가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25일 한은에 따르면 10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8.8로 지난달과 비교해 2.6%p 하락했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란(CCSI∙Composite
Consumer Sentiment Index) 소비자동향지수(CSI) 중 6개 주요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심리지표로 기준값이 100보다 크면 장기편균보다
낙관적임을,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임을 의미합니다.
소비자심리지수에 활용되는 주요 소비지동향지수 중 현재생활형편CSI와
현재경기판단 CSI는 각각 83, 84로 지난달과 비교해
모두 2p 하락했습니다. 가계수입전망CSI는 94로 지난달과 비교해 2p
떨어졌고 소비자지출전망CSI는 지난달과 비교해 1p 올랐습니다.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을 나타내는 현재경기판단 CIS과 향후경기전망은
지난달과 비교해 각각 3p, 6p 하락했습니다. 취업기회전망CSI는 70으로 6p 떨어졌습니다. 이는 향후 경기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진 것이 영향을 미친 걸로 풀이됩니다.
금리수준전망 CSI는 150으로 기준금리 인상
기조 지속 등으로 3p 상승했습니다.
물가인식은 지난달과 비교해 0.1%p 오른 5.2%로 역대최대를 기록했습니다. 물가인식은 지난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체감상승률을 뜻합니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을 전망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도 지난달보다 0.1%p 올라
4.3%p를 기록했습니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친 주요 품목의 응답비중은
공공요금(61.9%), 농축산물(42.9%), 석유류제품(39%) 순이었습니다.
한편 소비자물가지수는 오름폭의 차이만 있을 뿐 계속해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2월 3.7%에서 올해 1월 3.6%로 소폭 둔화한 뒤 2월에
3.7%를 시작으로 가파른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3월 4.1%. 4월 4.8%, 5월
5.4%였고 6월에는 6%까지 올랐다. 7월에도 6.3%가 올랐지만 8월에는 5.7%로 지난 1월 이후 7개월만에
꺾인 데 이어 지난달에는 전월보다 오름이 더 축소됐습니다.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생산자 물가가 한 달 만에 다시 상승세로 돌아서면서 5%대 고물가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