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자이언트 스텝 밟아…추경호, “국내 금융시장 영향 제한적”
▷ 美, 기준금리 0.75% 올려 2.25~2.50%로 결정
▷ 한미 금리 역전에 ‘자본유출’ 우려 나와
▷ 추 부총리, “긴장의 끈 놓지 않고 경각심 갖겠다”

# 미국 따라 금통위도 기준 금리 인상할 듯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27일 기준금리를 0.75% 올렸습니다. 지난달에 이어 2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밟은 건데요.
자이언트스텝 : 거인의 발검음이라고도 불리며 한 번에 기준금리를 0.75% 인상하는 것을 말함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어느 정도 예상했던 일이었습니다. 미국은 최근
심각한 물가 상승을 겪고 있었는데요. 7월 중순에 발표된 6월
미국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대비 9.1% 상승하며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제롬 파월 연준의장이 기자회견에서 여전히 미국의 인플레 상황을 걱정하면서, 9월에
있을 다음 정례회의 때도 “큰 폭의 금리 인상이 적절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는 2.25~2.50%로 결정돼 한국 기준금리(2.25%)를 추월했는데요. 한미 금리 역전은 2020년 2월 이후 약 2년
반 만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진 만큼 한국에 있는 달러가 미국으로 이동하는
‘자본 유출’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요.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 금리가 더 낮은 한국에 돈은 넣을 요인이 떨어진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이걸 막기 위해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 금리를 인상할 거란 예상이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현재 2.25%인 한국 기준금리가 연말까지 세 차례(8·10·11월) 남은 금통위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계속 올라 연말 2.75~3.00%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한미 기준금리 역전, 추경호
경제부총리의 의견은?
그는 모두 발언에서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대체로 시장 예상에 부합한 수준이라며 “오늘 새벽 국제금융시장이 무리 없이 소화함에 따라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또 미국과 한국의 금리 역전에 대한 우려에 대해선 “과거 사례를 볼
때 미국 금리인상 이후 국내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은 순유입을 유지한 바 있다”고도 했습니다.
우리 경제 자체의 펀더멘털(기초체력)과
수출입과 관련돼 있는 대외여건의 변동성 등을 다각적으로 파악하며 국내 금리 인상을 고민해야지 미국 금리 인상에 우리도 무작정 따라가는 건 아니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추 부총리는 끝으로 높아진 불확실성에 대응해 긴장의 끈을 놓지 않겠다며 높은 경각심을 갖고 만반의 준비를 갖추겠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