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美 자이언트 스텝 밟아…추경호, “국내 금융시장 영향 제한적”

▷ 美, 기준금리 0.75% 올려 2.25~2.50%로 결정
▷ 한미 금리 역전에 ‘자본유출’ 우려 나와
▷ 추 부총리, “긴장의 끈 놓지 않고 경각심 갖겠다”

입력 : 2022.07.28 16:00 수정 : 2022.09.02 11:21
美 자이언트 스텝 밟아…추경호, “국내 금융시장 영향 제한적” (출처=연합뉴스)
 

# 미국 따라 금통위도 기준 금리 인상할 듯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27기준금리를 0.75% 올렸습니다. 지난달에 이어 2회 연속자이언트 스텝을 밟은 건데요.

 

자이언트스텝 : 거인의 발검음이라고도 불리며 한 번에 기준금리를 0.75% 인상하는 것을 말함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어느 정도 예상했던 일이었습니다. 미국은 최근 심각한 물가 상승을 겪고 있었는데요. 7월 중순에 발표된 6월 미국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대비 9.1% 상승하며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제롬 파월 연준의장이 기자회견에서 여전히 미국의 인플레 상황을 걱정하면서, 9월에 있을 다음 정례회의 때도 큰 폭의 금리 인상이 적절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는 2.25~2.50%로 결정돼 한국 기준금리(2.25%)를 추월했는데요. 한미 금리 역전은 2020 2월 이후 약 2년 반 만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진 만큼 한국에 있는 달러가 미국으로 이동하는자본 유출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요.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 금리가 더 낮은 한국에 돈은 넣을 요인이 떨어진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이걸 막기 위해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 금리를 인상할 거란 예상이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현재 2.25%인 한국 기준금리가 연말까지 세 차례(8·10·11) 남은 금통위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계속 올라 연말 2.75~3.00%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한미 기준금리 역전, 추경호 경제부총리의 의견은?

 

 

(출처=기획재정부)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8일 오전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개최했는데요.

 

그는 모두 발언에서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대체로 시장 예상에 부합한 수준이라며오늘 새벽 국제금융시장이 무리 없이 소화함에 따라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또 미국과 한국의 금리 역전에 대한 우려에 대해선과거 사례를 볼 때 미국 금리인상 이후 국내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은 순유입을 유지한 바 있다고도 했습니다.

 

우리 경제 자체의 펀더멘털(기초체력)과 수출입과 관련돼 있는 대외여건의 변동성 등을 다각적으로 파악하며 국내 금리 인상을 고민해야지 미국 금리 인상에 우리도 무작정 따라가는 건 아니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추 부총리는 끝으로 높아진 불확실성에 대응해 긴장의 끈을 놓지 않겠다며 높은 경각심을 갖고 만반의 준비를 갖추겠다고 밝혔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