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난방비 급등으로 전국 곳곳에서 하소연이 빗발치고 있는 가운데 온라인에서는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지역난방의 경우 ‘외출’ 버튼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합니다.
날이 추울 때 외출 모드를 사용하면 난방에 필요한 물 온도가 빠르게 식어버려 다시 난방을 할 때 가동시간이 늘고
그만큼 난방비가 올라가게 됩니다.
특히 지역난방은 개별난방보다 집안의 온도를 올리는데 많은 시간이 걸려 설정 온도를 1~2도 낮춘 후 외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 잠깐 외출을 할 때는 지역난방과 마찬가지로 가급적 외출 기능을 쓰지 않을 것을 권합니다.
반면 개별난방의 경우 외출 혹은 반복 타이머를 활용해 방바닥이 식지 않도록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난방비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타이머는 15분 작동하고 45분 가동을 멈추는 것이 좋고, 단열이 잘 안되는 가정에서는 실내 모드를 활용할 것을 추천합니다.
가습기도 난방 효율을 올려주는데 효과적입니다. 보일러와 가습기를 혼용하면
체감 온도를 높이고, 그만큼 보일러 사용 시간도 줄일 수 있습니다.
가습기가 난방에 도움을 주는 이유는 습기 덕분입니다. 단위시간 당
열을 전달하는 정도를 ‘열전도율’이라 하는데, 물은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높습니다.
따라서 대기 중에 수분이 높게 포함된 상태라면, 난방을 덜 작동시키더라도
빠르게 따뜻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흔히 ‘뽁뽁이’라고 불리는
에어캡은 집 내부 온도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겨울철 실내 온도는 주택의 단열 성능에도 좌우됩니다.
만일 외벽재의 단열 성능이 부실하고 창틀이나 문 틈새에 빈 공간이 많다면 금방 찬 공기가 스며들어 실내 온도를
떨어뜨리고 맙니다.
에어캡은 창문의 유리면에 부착하거나, 창틀에 부착해 실내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에어캡을 활용해 문틈 사이로 들어오는 바람만 차단해도 실내 온도를 2~3도까지 높이는 것이 가능합니다.
유리면에 직접 부착하는 경우는 1겹보다 2겹이 더 효과적이고, 2겹도 실내∙외에 각각
1겹씩 부착하는 것보다 실내에만 2겹을 두텁게 바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정부는 유례없는 난방비 폭탄으로 인한 취약계층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에너지바우처 지원과 가스요금 할인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급등한 천연가스
가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계층을 위해 에너지바우처 지원금액을 상향하고, 취약계층에 대한 도시가스
요금 할인폭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동절기 에너지바우처 지원금액을 현재 15만 2000원에서 2배 인상된 30만4000원으로 대폭 인상합니다.
사회적배려대상자에 대한 가스요금 할인액도 현재 9000원~ 3만6000원에서 2배
인상된 1만8000원~7만2000원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산업부 관계자는 “최근까지도 에너지바우처 지원액을 51% 올리고, 사회적 배려대상자에 대한 도시가스 할인폭을 50% 인상했지만 최근 계속된 한파로 난방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인 만큼 취약계층에 대한 난방비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
6와~~이런 개***회사가 코스닥에 상장 했다니..ㅠ 힘으로 밀어 부치며 불법과 사기로 회사 재무도 건전한 회사가 고의로 상폐시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액주주들 몫!!!ㅠㅠ
7믿지못할 일이 눈앞에서 벌어졌네요. .도대체 주주총회에 왜 주주가 입장이 안되는거죠? 말만 주주총회 입니까!! 이 어처구니없는 사실들이 널리 알려져야겠어요.피같은돈 그냥 지들맘대로 없애려 하다니 대유경영진은 전원 사퇴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