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최근 날씨가 급격히 추워지면서 한파 피해가 예상되는 가운데 질병관리청이 1일부터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을 시작합니다.
지난 30일 질병관리청은 겨울철 한파로 인한 건강피해를 감시하기 위해
2022년 12월 1일부터
2023년 2월 28일까지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를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는 전국 500여 개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이
관할 보건소 및 시∙도, 질병청 등과 협력해 응급실에 내원한 한랭질환자를 파악하고 한파로 인한 건강영향을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질병청에 따르면 지난 절기(21-22절기)의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신고된 한랭질환자는 총 300명으로, 이중 사망자는 9명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2020-2021 절기 환자(433명)보다 30.7% 감소한 수치입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사망자는 7명에서 9명으로 증가했습니다.
한랭질환자의 주요 발생특성을 살펴보면, 남성(71.3%)이 여성(28.7%)보다 2배 이상 많았고, 연령별로는 65세
이상 고령층(47.0%)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질환별로는 저체온증 환자가 77.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국소성 한랭손상(동상, 동창
등)이 22.3%로 뒤를 이었습니다.
발생 장소는 길가, 주거지 주변, 산
등과 같은 실외 활동 중 발생하는 경우가 81.3%로 가장 많았습니다.
실내 및 집에서의 발생도는 12.3%로 조사됐습니다.
발생 시간은 기온이 낮아지는 오전 시간대(0~9시)에 42%가 몰려있었으며 한랭질환으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 중 22.3%(67명)가 음주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백경란 질병관리 청장은 “올 겨울은 기온 변화가 크고,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기상청의 겨울 기후전망에 따라, 갑작스러운
추위로 인한 한랭질환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질병청은
내년 2월까지 참여 의료기관, 관할 지자체와 지속적인 협력으로
한파 건강피해를 감시해 발생 현황정보를 신속하게 공개하도록 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