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한랭질환 사망자 꾸준히 증가…질병청 ‘한랭질환 응급실 감시체계’ 가동

입력 : 2022.12.01 11:07 수정 : 2022.12.01 11:24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최근 날씨가 급격히 추워지면서 한파 피해가 예상되는 가운데 질병관리청이 1일부터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운영을 시작합니다.  

 

지난 30일 질병관리청은 겨울철 한파로 인한 건강피해를 감시하기 위해 2022121일부터 2023228일까지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를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는 전국 500여 개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이 관할 보건소 및 시, 질병청 등과 협력해 응급실에 내원한 한랭질환자를 파악하고 한파로 인한 건강영향을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질병청에 따르면 지난 절기(21-22절기)의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신고된 한랭질환자는 총 300명으로, 이중 사망자는 9명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2020-2021 절기 환자(433)보다 30.7% 감소한 수치입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사망자는 7명에서 9명으로 증가했습니다.

 

한랭질환자의 주요 발생특성을 살펴보면, 남성(71.3%)이 여성(28.7%)보다 2배 이상 많았고, 연령별로는 65세 이상 고령층(47.0%)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질환별로는 저체온증 환자77.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국소성 한랭손상(동상, 동창 등)22.3%로 뒤를 이었습니다.

 

발생 장소는 길가, 주거지 주변, 산 등과 같은 실외 활동 중 발생하는 경우가 81.3%로 가장 많았습니다. 실내 및 집에서의 발생도는 12.3%로 조사됐습니다.

 

발생 시간은 기온이 낮아지는 오전 시간대(0~9)42%가 몰려있었으며 한랭질환으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 중 22.3%(67)가 음주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백경란 질병관리 청장은 올 겨울은 기온 변화가 크고,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기상청의 겨울 기후전망에 따라, 갑작스러운 추위로 인한 한랭질환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질병청은 내년 2월까지 참여 의료기관, 관할 지자체와 지속적인 협력으로 한파 건강피해를 감시해 발생 현황정보를 신속하게 공개하도록 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일한 만큼 대가 주어야 합니다

2

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3

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4

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5

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6

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