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패딩 브랜드로 나뉘는 계급, 청소년 양극화 우려

입력 : 2022.12.06 12:26 수정 : 2022.12.06 13:1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 엄마 패딩 사주세요

17세 자녀를 둔 A씨는 겨울이 시작되고 패딩을 사달라는 아이의 요구에 근심이 생겼습니다. 자녀가 사달라고 한 브랜드는 기본 50만원을 넘는 고가의 패딩이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는 것이 중요한 나이에 패딩을 사주지 않아 무시 받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사줄 수 밖에 없었습니다.  

 

최근 10대들 사이에서 패딩이 부의 상징으로 인식되면서 부모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온라인상에서는 패딩의 가격에 따라 계급을 나누는 패딩 계급도까지 등장해, 10대들의 경쟁을 부추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초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실시한 고가 의류 브랜드패딩 계급도관련 인식 조사에 따르면,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화제가 된 패딩 계급도가 사회 양극화를 보이고 있어 차별과 갈등을 조장한다고 분석했습니다.

 

해당 조사에서 패딩 제품을 군대 계급처럼 서열을 매긴 패딩 계급도를 알고 있다는 비율은 절반 이 넘는 55.8%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연령대가 낮을수록 패딩 계급도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고, 응답자의 상당수는 실제로 패딩 브랜드에 따라 계급이 존재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실제로 10대들 사이에서 패딩이 유행처럼 번지면서 2의 교복으로까지 불리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학생들 사이에서는 고가 브랜드 패딩을 둘러싼 범죄도 잇따르고 있는데 친구를 협박해 옷을 빼앗거나 이를 중고마켓에 팔아 용돈 벌이로 이용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겨울철 중고교생 사이에서 패딩이 학생 간 계급화를 가져오면서 패딩을 뺏기 위한 다툼이 일어난다면서 가해자는 자신이 노력해서 얻은 성취물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할 가능성이 크다며 우려를 표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

관련 기사

관련기사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