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 “엄마 패딩 사주세요”
17세 자녀를 둔 A씨는 겨울이 시작되고 패딩을 사달라는 아이의 요구에 근심이 생겼습니다. 자녀가 사달라고 한 브랜드는 기본 50만원을 넘는 고가의 패딩이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는 것이 중요한 나이에 패딩을 사주지 않아 무시 받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사줄 수 밖에 없었습니다.
최근 10대들 사이에서 패딩이 부의 상징으로 인식되면서 부모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온라인상에서는 패딩의 가격에 따라 계급을 나누는 ‘패딩 계급도’까지 등장해, 10대들의 경쟁을 부추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초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실시한 ‘고가 의류
브랜드’ 및 ‘패딩 계급도’
관련 인식 조사에 따르면,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화제가 된 ‘패딩 계급도’가 사회 양극화를 보이고 있어 차별과 갈등을 조장한다고 분석했습니다.
해당 조사에서 패딩 제품을 군대 계급처럼 서열을 매긴 ‘패딩 계급도’를 알고 있다는 비율은 절반 이 넘는 55.8%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연령대가 낮을수록 패딩 계급도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고, 응답자의
상당수는 실제로 패딩 브랜드에 따라 계급이 존재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실제로 10대들 사이에서 패딩이 유행처럼 번지면서 ‘제2의 교복’으로까지 불리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학생들 사이에서는 고가 브랜드 패딩을 둘러싼 범죄도 잇따르고 있는데 친구를 협박해 옷을 빼앗거나 이를
중고마켓에 팔아 용돈 벌이로 이용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겨울철 중∙고교생 사이에서
패딩이 학생 간 ‘계급화’를 가져오면서 패딩을 뺏기 위한
다툼이 일어난다”면서 “가해자는 자신이 노력해서 얻은 성취물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할 가능성이 크다”며 우려를 표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대유 하는짓 보면 기가 찹니다
2대한민국 주식시장을 쓰레기 투기장으로 만든 정치인들은 알면서도 내비두는거지? 대표의 고의적인 잘못을 주주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입게 내비두는 것이 진정 국가가 존개한다라고 볼 수 있나? 개인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상법개정을 하루빨리 시행해라.
3이번일을 계기로 국내 주식시장에 경종을 울리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더이상 주가조작세력을 묵인해선 안될것입니다.
4주가조작세력 및 범죄지들이 국내 주식시장을 어지럽히는 문제점을 없어져야 합니다.
5소액주주 권리, 꼭 찾을 수 있다는 희망의 기사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긴 시간 회사의 횡포에도 굳건한 대유 소액주주 연대 항상 응원합니다. 꼭 이루어지길 빌면서…
6귀한정보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
7대유 소액주주연대 화이팅하세요. 기자님~ 정확한 정보 기사화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 기사 계속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