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설명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서울시가 일상에서 지속적인 불안, 우울감을 느끼고 있지만 비용 부담, 접근성 문제 등으로 상담을 망설이는 청년들의 마음을 치유하기 위해 나섭니다.
시는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 19-39세 서울 청년에게 무료 심리검사를 통한 과학적 진단 후 맞춤 상담, 치료 등을 연계하는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에 참여할 시민 2500명을 모집한다고 26일 밝혔습니다.
이 사업은 중앙정부는 물론 타 지자체에서도 벤치 마킹하는 서울시의 대표 청년정책 중 하나입니다.
이번 지원사업에 선정된 청년은 마음건강 상태에 대한 온라인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결과에 따라 총 6회(회당 50분)의 일대일 전문가 맞춤 상담이 진행됩니다.
또한 지난해까지는 참여자의 마음건강 상태를 3개 유형(일반군, 도움군,임상군)으로 나눴으나, 올해부터는 임상군을 '잠재 임상군'과 '임상군으로 세분화해 4개 유형(일반군, 도움군, 잠재 임상군, 임상군)으로 분류해 보다 세밀한 상담과 관리를 진행합니다.
상담 이후에는 '마음건강 테라피', 마음건강 관리 앱, 지역 의료기관 연계 등 청년의 마음 상태에 맞는 맞춤형 프로그램이 진행됩니다.
시는 "현재 지난 1월 모집한 1차 참여자 2,458명에 대해 온라인 사전검사를 완료했고, 결과에 따라 일대일 맞춤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지금까지 약 7300건의 상담이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2차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청년은 오는 27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청년 몽땅 정보통에서 신청하면 됩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현대인에게 위로를 전하는 AI 기반 마음관리 플랫폼인 '답다'가 출시 6개월만에 2만명의 가입자를 모으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답다는 고객이 그날 하루의 감정을 일기로 작성하면, AI 상담사가 이를 분석해 답장을 달아줍니다.
고객은 AI 상담사의 답장을 통해 누군가와 소통하는 기분을 느끼며 위로를 받을 수 있습니다.
LG유플러스는 답다를 통해 전문적인 상담사에게도 털어놓기 힘든 개인의 고민을 편하게 일기로 쓰고, 감정에 공감해주는 답장을 통해 위로 받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LG유플러스는 향후 자체 개발한 AI인 '익시' 등 기술을 활용해 '답다' 서비스를 고도화할 방침입니다.
답다가 고객의 일상에 도움을 주는 '라이프 플랫폼'인 만큼, 고객 접점을 확대하고 다양한 플랫폼과의 연계를 통해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전략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일한 만큼 대가 주어야 합니다
2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3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4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5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6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