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한강에서 제트스키를 타던 남성이 이를 구경하던 어린아이들에게 물을 뿌렸다가 한 아이가 크게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지난 11일 제트스키 동호인들이 모인 한 온라인 카페에 ‘결국 이 사달을 내는군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습니다.
해당 글을 쓴 A씨는 “지난
주말 여의도에서 제트스키로 어린 아이에게 물을 뿌리는 일이 있었고 아이가 머리를 심하게 다쳐 수술을 한다”고
전했습니다.
A씨는 “올해
들어 제트스키로 한강을 이용하는 애꿎은 시민들에게 자꾸 물을 뿌려 피해를 입히는 일이 잦아, 곳곳에
현수막을 붙이고 기사도 나는 실정이었는데, 결국 이 사달을 냈다”고
했습니다.
제보된 영상을 보면 아이 4명이 한강 난간 앞을 서성이고 있습니다.
이때 제트스키를 탄 남성이 다가와 아이들을 향해 물을 뿌렸고, 한
아이가 물에 맞아 쓰러지며 뒤로 날아갔습니다.
A씨는 “제트스키
한두 번 타본 것도 아니고 물을 뿌리고 맞아본 적이 당연히 있으면, 저 거리에서 나가는 물대포의 힘이
얼마나 센지 당연히 알 텐데 무슨 생각으로 저런 짓을 했는지 모르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A씨는 “사고
낸 제트스키가 사고가 일어난 주말에 매물로 올라왔다는 제보를 받았다”며 “물론 처분하려던 시기가 맞아 떨어졌을 수도 있지만, 사고를 은폐하려는
시도는 아니었는지 의심이 든다”고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서울시 한강사업본부는 “제트스키와 같은
수상레저기구는 관리하라는 법 조항이 없다”며 “해양경찰이 틈틈이 단속을 나가 적발하는 게 전부인데 눈치채고 재빠르게 사라져 제트스키 번호판을 모르면 당사자를
붙잡을 수 없는 게 현실”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한편 이번 사고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날선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한 누리꾼은 “(제트스키를) 많이 타보고 다뤄봤으면 물 세기가 어떤지 충분히 잘 알고 있었을 텐데 저런 행동을 하다니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른 누리꾼은 “아이의 위치를 보고 제트스키 위치를 조정하는
걸 보면 고의가 분명하고 살인미수로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일부 누리꾼들은 “한강에서 제트스키를 못타게 해야 한다”, “한강에서 제트스키를
퇴출시키자” 등 한강에서 제트스키를 이용하는
것에 대해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