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한강에서 제트스키를 타던 남성이 이를 구경하던 어린아이들에게 물을 뿌렸다가 한 아이가 크게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지난 11일 제트스키 동호인들이 모인 한 온라인 카페에 ‘결국 이 사달을 내는군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습니다.
해당 글을 쓴 A씨는 “지난
주말 여의도에서 제트스키로 어린 아이에게 물을 뿌리는 일이 있었고 아이가 머리를 심하게 다쳐 수술을 한다”고
전했습니다.
A씨는 “올해
들어 제트스키로 한강을 이용하는 애꿎은 시민들에게 자꾸 물을 뿌려 피해를 입히는 일이 잦아, 곳곳에
현수막을 붙이고 기사도 나는 실정이었는데, 결국 이 사달을 냈다”고
했습니다.
제보된 영상을 보면 아이 4명이 한강 난간 앞을 서성이고 있습니다.
이때 제트스키를 탄 남성이 다가와 아이들을 향해 물을 뿌렸고, 한
아이가 물에 맞아 쓰러지며 뒤로 날아갔습니다.
A씨는 “제트스키
한두 번 타본 것도 아니고 물을 뿌리고 맞아본 적이 당연히 있으면, 저 거리에서 나가는 물대포의 힘이
얼마나 센지 당연히 알 텐데 무슨 생각으로 저런 짓을 했는지 모르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A씨는 “사고
낸 제트스키가 사고가 일어난 주말에 매물로 올라왔다는 제보를 받았다”며 “물론 처분하려던 시기가 맞아 떨어졌을 수도 있지만, 사고를 은폐하려는
시도는 아니었는지 의심이 든다”고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서울시 한강사업본부는 “제트스키와 같은
수상레저기구는 관리하라는 법 조항이 없다”며 “해양경찰이 틈틈이 단속을 나가 적발하는 게 전부인데 눈치채고 재빠르게 사라져 제트스키 번호판을 모르면 당사자를
붙잡을 수 없는 게 현실”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한편 이번 사고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날선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한 누리꾼은 “(제트스키를) 많이 타보고 다뤄봤으면 물 세기가 어떤지 충분히 잘 알고 있었을 텐데 저런 행동을 하다니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른 누리꾼은 “아이의 위치를 보고 제트스키 위치를 조정하는
걸 보면 고의가 분명하고 살인미수로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일부 누리꾼들은 “한강에서 제트스키를 못타게 해야 한다”, “한강에서 제트스키를
퇴출시키자” 등 한강에서 제트스키를 이용하는
것에 대해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