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여름 폭우 다가오는데, 전국 소방차 99% 침수에 취약, 대책은?

입력 : 2023.07.12 16:46 수정 : 2023.07.12 16:50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전국 곳곳에서 기습 폭우로 인해 침수 피해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소방차가 침수 상황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이 소방청으로부터 제공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난달까지 침수 피해를 본 소방차량은 모두 35대로 조사됐습니다.

 

이 중 30대는 전례 없는 폭우가 쏟아졌던 지난해 침수로 인해 고장을 일으킨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소방차량이 침수에 취약한 이유는 엔진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구가 낮게 설치돼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로 인해 성인 남성의 허벅지 높이인 수심 70cm부터는 주행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현재 전국 소방차량 7575대 중 7554대 소방차량의 흡기구가 지상 90cm 또는 그보다 낮게 위치해 있었습니다.

 

이는 실제 피해로까지 이어졌는데, 지난해 8월 신림동 반지하 참사 당시 신고가 처음 접수된 오후 849분부터 오후 1138분까지 약 3시간 동안 6개 소방서의 차량 중 단 한 대도 사고 현장에 도달하지 못했습니다.

 

이에 소방청은 엔진 흡기구를 올리도록 소방차 규격을 개정하려고 했지만, 비용 문제로 인해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대신 소방청은 올해 산불 전문 진화차’ 21대의 명칭을 험지펌프차로 바꿔 침수 대응에 적극 나설 계획입니다.

 

험지펌프차는 엔진 흡기구가 지상 140cm 높이로 수심 120cm에서도 주행이 가능합니다.

 

지난해 9월 경북 포항시가 태풍 힌남노로 인한 집중호우로 침수 피해를 입었을 때도 험지펌프차 10대가 출동해 복구 작업을 도운 바 있습니다.

 

다만 험지펌프차는 산불 진화에 특화된 차량으로 산불 위험이 큰 지역 위주로 배치돼 서울광주∙부산∙울산∙인천∙경남∙전남∙전북∙제주 등 9개 시∙도는 아직 확보하지 못한 상황입니다.

 

소방청 관계자는 내년까지 험지펌프차 33대를 더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한국건설기술연구원(건설연)은 장마철 침수 피해를 상시 감시하고 위험을 알릴 수 있는 초소형 센서 및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건설연에 따르면 도시침수 피해는 하천 범람 등의 외수 침수보다 집중호우에 따른 배수 시설의 배수 한계 초과로 인한 내수 침수의 경우가 세 배 이상 많았습니다.

 

또한 현재 정부 및 지자체는 침수 계측, 강우 관측소 CCTV 영상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시 침수 상황을 파악하고 있어, 복잡한 도시 환경 특성 탓에 저지대 주택이나 지하 차도, 지하 주차장 등 지하 시설물의 침수 상황까진 감시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에 건설연은 산업용 레이더와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활용해 사람∙자동차 등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주변 환경과 유입되는 빗물을 1cm 단위로 세밀하게 구분할 수 있는 초소형 센서 및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은 기존의 CCTV 영상 분석이나 강수량에 의존한 간접적인 분석 방법과 달리 현장에서 직접 수위 관측이 가능해 빠르고 정확한 침수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김병석 건설연 원장은 개발된 기술은 여름철 집중호우에 따른 도시 침수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스마트시티 안전관리 기술로서, 국민들의 안전을 지키는 동시에 시민들이 안심하고 일상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과학 기술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