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가계대출 41.5조원 늘어...직전년도 보다 4배 증가
▷금융위, 가계대출동향 발표
▷은행권 주담대, 증가세 이끌어
지난해 금융권 가계대출이 42조원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지난해 금융권 가계대출이 42조원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전년도와 비교해 연간 가계대출 증가폭이 4배 규모로 불어난 셈이다.
금융위원회가 15일 발표한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권 가계대출은 총 41조 6000억원 증가해 전년 대비(10조1000억원) 증가폭이 확대됐다.
가계대출은 2020년 112조300억원, 2021년 107조5000억원 증가에서 2022년 8조8000억원 감소로 돌아선 뒤, 2023년 10조1000억원이 늘어났다.
지난해 가계대출 증가세를 이끈 건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다. 지난해 주담대 잔액은 57조1000억원 증가(5.7%) 한 반면 같은기간 기타대출은 15조 5000억원(2.5%)감소했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은행권 가계대출은 46조2000억원으로 전년 대비(37조1000억)으로 증가폭이 확대됐고,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4조 6000억원으로 전년(27조원)대비 감소폭이 축소됐다.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전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증가했고 기타대출은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전년 대비 감소폭은 축소됐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여전사(3조2000억), 저축은행(1조5000억), 보험(5000억) 증가한 반면, 상호금융(9조8000억)은 감소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24년에는 금리인하 기대감에 따른 대출금리 하락, 수도권 중심의 주택거래 증가 등으로 4월 이후 가계부채 증가세가 확대됐다"며 "9월에 시행된 2단계 스트레스 DSR과 금융권의 자율적인 관리노력 등으로 9월 이후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전반적으로 가계부채가 경상성장률 내에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4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5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6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7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