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값 상승폭 3주째 축소...배경은?
▷대출 여건 관망, 단기 급등 단지에 대한 피로감 때문 ▷아파트 경매시장 낙차가율은 상승세...25개월 만 최고치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4.09.05
5월 서울 빌라 경매건수 늘어..."빌라 기피현상 때문"
▷2006년 1월 이후 가장 많아 ▷매매시장서 빌라 기피가 경매시장에도 영향 ▷전세보증사고 규모 2조원 육박...올해 최고치 경신 전망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4.05.28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하니 낙찰가율도 올라
▷낙찰가율 90% 돌파...1년 8개월만 ▷아파트 가격은 6주 연속 상승세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4.05.02
부동산 시장 침체국면...집값·경매지표 일제히 하락
▷서울 집값 5월 셋째 주 이후 29주만에 하락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낙착율 각각 3.3%, 2% 하락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3.12.08
주담대 금리 연내 8% 가능성에..."영끌족 어떡하나"VS"본인 책임"
▷코픽스 변동에 주담대 금리 상단 7% 돌파 ▷특례보금자리론 금리도 올라...영끌족 집 경매시장 나올 가능성↑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3.10.23
'청년주거사다리' 오피스텔 매매·공급·낙찰률 일제 감소
▷매매, 2021년 4만3124건에서 지난해 3만3939건으로 반토막 ▷올해 공급량 3만실에 그칠듯...오피스텔 낙찰률도 약 11%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3.10.06
아파트 경매건수는 늘어나는데 낙찰률은 떨어져...이유는?
▷서울아파트 경매 진행건수 193% 늘어...낙착률은 19% 하락 ▷하반기 집값 추가 하락 우려에 경매 물건 구매하지 않은 탓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3.07.10
'전세사기’가 불러온 나비효과…전월세 내리고 셀프 경매 늘어
▷전월세 감액 계약 비율 25% 치솟아…2021년 이후 최고치 ▷4월 수도권 셀프 경매, 총 230건…지난달에 비해 65% 늘어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3.04.25
‘아파트 거래는 울고 경매는 웃었다’
▷지난해 아파트 매매 거래량 59만8581건…2006년 이래 가장 적어 ▷경매시장은 살아나…낙찰률, 전달과 비교해 9.0%포인트 늘어 ▷전문가 ”올해 하반기쯤 아파트 가격 하락세가 둔화될 것”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3.02.08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