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거래는 울고 경매는 웃었다’
▷지난해 아파트 매매 거래량 59만8581건…2006년 이래 가장 적어
▷경매시장은 살아나…낙찰률, 전달과 비교해 9.0%포인트 늘어
▷전문가 ”올해 하반기쯤 아파트 가격 하락세가 둔화될 것”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지난해 전국 주택 매매 시장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최소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금리와 아파트 가격 하락전환으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면서 매입 비중도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반면 부동산 시장 한파 영향에 함께 부진했던 경매시장은 다시 살아나고 있습니다.
9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의 주택유형별 매매
거래량을 살펴본 결과, 지난해 전국 주택 거래량은 50만
8790건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중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59만 8581건으로 아파트 매입 비중이 58.7%로 확인됐습니다. 이 같은 비중은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 이래 가장 적은 수치입니다.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은 2017년 64.5%, 2018년 65.8%, 2019년 67.7%로 상승세를 보이다 2020년 73.0%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후 2021년 65.9% 내려앉더니 지난해에는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파트 거래가 떨어지는 가운데 경매 시장은 다시 살아나는 분위기입니다. 법원경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이 같은 날 발표한 ‘2023년 1월 경매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는 1736건으로 이 중 634건이 낙찰됐습니다. 낙찰률은 36.5%로
전달(27.5%)와 비교해 9.0%포인트 상승한 것입니다. 낙찰가율은 75.8%로 전월(75.0%)
보다 0.8%포인트 올랐으며, 평균 응찰자 수는
5.9명으로 전달과 비슷했습니다.
지지옥션 관계자는 “여러 차례 유찰된 아파트가 다수 소진되면서 낙찰률이 반등했다”며 “이 중 재건축이나 리모델링 기대감으로 하방 압박을 덜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파트에 특히 응찰자가 몰렸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전문가들은 미국과 한국 금리 상승이 일단락될 가능성이 높은 올해 하반기쯤 아파트 가격 하락세가 둔화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2023년 주택 시장 전망과 정책방향’에서 “고금리, 경기 위축
등으로 집값 하락세가 지속될 것이라며, 다만 기준금리 인상이 정정을 지나고 있는 만큼 내년 4월 이후부터는 하락 폭이 둔화되기 시작해 내년 4분기 중에는 수도권
인기지역부터 보합세 혹은 강보합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했습니다.
주산연과 마찬가지로 한국건설산업연구원도 내년 집값 하락을 전망하면서 “내년 하반기부터는 금리 인하 등의
기대감으로 매매시장이 ‘상저하고’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