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서울 빌라 경매건수 늘어..."빌라 기피현상 때문"
▷2006년 1월 이후 가장 많아
▷매매시장서 빌라 기피가 경매시장에도 영향
▷전세보증사고 규모 2조원 육박...올해 최고치 경신 전망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이달 서울의 빌라 경매 건수가 또다시 늘어 2006년 1월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경매·공매 전문기업 지지옥션 집계 결과 이달들어 진행된 서울 빌라 경매건수는 1149건이었습니다. 이달말까지 예정된 경매 건수를 합하면 지난달보다 50여건이 많습니다.
지난달 서울 빌라 경매 건수는 2006년 5월(1475건) 이후 가장 많았으나, 한 달 만에 더 늘어나며 이 기록을 또다시 깬 것입니다. 이는 2006년 1월에 기록한 1600건 이후 가장 많은 건수입니다.
서울 빌라 경매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월평균 600∼800건 수준이었습니다. 하지만 △1월 1290건 △2월 1182건 △3월 1048건 △4월 1456건 등으로 올해 들어 계속 1000건을 웃돌고 있습니다.
서울 빌라 경매 건수가 늘어나는 것은 2022년부터 사회문제로 떠오론 전세사기와 관련한 물건이 경매 시장에 본격적으로 나오기 시작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빌라 기피 현상이 이어지면서 유찰이 반복되면서 경매 건수가 많이 늘어난 것입니다.
당분간 빌라 경매 건수는 계속해서 늘어날 전망입니다. 매매시장에서의 빌라 기피가 경매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빌라 시장 자체가 살아나지 않는 한 경매 시장에서 빌라 경매 진행 건수는 늘어날 수밖에 없어 당분간 경매 건수는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전세보증금을 제때 받지 못해 발생한 전세보증사고 규모가 올해 들어 4월까지 2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1~4월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보험 사고액은 1조9062억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사고 건수는 8786건입니다. 월별로 살펴보면 1월 2927억원, 2월 6489억원, 3월 4938억원, 4월 4708억원이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위변제액 8124억원보다 규모가 55.8% 상승했습니다.대위변제액이란 채무자의 이자미지급이나 원금상환불능과 같은 사고가 났을 때, 보증한 금액을 채권자에게 대신 변제를 하고 그 채권자의 권리를 얻는 것을 뜻합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