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올들어 아파트 비중 역대 최대...증여거래도 늘어

▷전세사기 불안감에 아파트 선호도 높아져
▷"증여거래 증가...부의 대물림 우려"

입력 : 2024.05.21 10:25
올들어 아파트 비중 역대 최대...증여거래도 늘어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올해 들어 주택 거래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빌라 등 아파트 거래는 최저수준으로 줄었습니다.

 

21일 한국부동산원의 주택유형별 매매거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아파트 거래 비중은 지난해 74.2% 대비 1.6%포인트 늘어난 75.8%로 집계됐습니다. 2019년만해서 67.7%였지만 아파트 값이 뛰기 시작하면서 73%까지 올랐다가, 빌라로 수요가 분산되면서 2022년 58.7%까지 줄었지만 전세사기 불안감이 커지면서 다시 아파트 선호도가 높아진 결과입니다.

 

전세사기 여파로 연립·다세대 등 '빌라' 수요가 감소하면서 1분기 전국의 비아파트 거래 비중은 24.2%로 2006년 조사 이래 가장 작았습니다. 이 중 다세대·연립의 비중은 2022년 25.5%에서 지난해 15.4%, 올해 1분기 14.9%로 더 줄었습니다.

 

단독·다가구 역시 2022년 15.8%에서 지난해 10.4%를 거쳐 올해 1분기 9.2%를 기록하며 10% 아래로 떨어졌습니다.고금리와 공사비 상승으로 지난해부터 빌라·단독주택 등의 인허가 물량이 급감하며 신축 주택 공급이 줄어든 것도 비아파트 거래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신축 빌라 전세사기 문제가 심각했던 인천의 경우 2022년 60.5%에 달했던 비아파트 거래 비중이 전세사기 후유증으로 지난해 32.5%로 감소했고, 올해는 28.1%로 줄었습니다.이에 비해 2022년 39.5%로 감소했던 아파트 거래 비중은 지난해 67.5%, 올해 1분기 72.0%로 커졌습니다.

 

경기도 역시 2022년 47.5%였던 비아파트 거래 비중이 작년 24.5%로 감소했고, 올해 1분기는 22.5%로 작아졌습니다.

 

이와함께 올해 1~3월 간 아파트 증여 거래의 비중은 5.85%로 작년보다도 증가했습니다. 부동산중개앱 우대빵부동산에 따르면 올 1분기 증여거래가 아파트 전체 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85%로 2023년 5.37%와 비교해 소폭 증가했습니다. 

 

증여 거래 비중은 주택가격 차이에서 비롯된 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주택가격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상승하기 전인 2017년 권역별 증여 거래 비중 차이는 0.11%포인트에 불과했는데 2023년에는 1.18%포인트, 수도권을 중심으로 아파트 매매가격이 반등 중인 2024년(1~3월)에는 2.29%포인트로 늘어났습니다.

 

우대빵부동산 측은 "수도권이나 주거 선호지역을 중심으로 증여거래가 증가한다면 부의 대물림이나 세대간 부의 이전에 따른 불평등이 심화될 수도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고 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