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주담대 금리 연내 8% 가능성에..."영끌족 어떡하나"VS"본인 책임"

▷코픽스 변동에 주담대 금리 상단 7% 돌파
▷특례보금자리론 금리도 올라...영끌족 집 경매시장 나올 가능성↑

입력 : 2023.10.23 17:01 수정 : 2023.10.23 17:04
주담대 금리 연내 8% 가능성에..."영끌족 어떡하나"VS"본인 책임"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3.5%를 유지한 가운데,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7%를 넘어서면서 모든 대출을 총동원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족들의 이자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채와 연동하는 5대 시중은행(KB국민ㆍ신한ㆍ하나ㆍ우리ㆍNH농협은행) 주담대 금리 상단은 지난 20일 현재 연 7% 선을 밟았습니다.지난 4월 말 5% 중후반대였던 점을 고려하면 6개월 만에 금리 상단 기준 1%포인트 이상 오른 것입니다.신용대출 금리도 비슷한 수준으로 올라섰습니다. 4.94~6.61%로 상단이 7%대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금리가 오르면 그만큼 대출자가 내야 하는 이자도 늘어납니다. 30년 만기에 5%대 금리로 3억원을 빌린다고 가정하면 한 달 이자는 약 161만원이지만, 금리가 7% 대면 이자는 199만원 수준으로 확대됩니다.불과 여섯 달 만에 이자 부담이 74만원이나 불어난 셈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특례보금자리론 금리까지 오르면서 영끌족들이 집을 내놔야 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은행 이자를 갚지 못한 영끌족들의 집이 경매 시장에 나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경·공매 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경매 진행 건수는 216건으로 집계됐습니다.이는 2016년 6월(234건) 이후 7년 3개월 만에 월별 최대치입니다.전달(190건)과 비교하면 13.7% 증가했습니다.

 

서울 아파트 경매 진행 건수는 지난달 처음으로 200건대를 넘어섰습니다.그간 매월 두 자릿수에 머물다가 지난해 10월 100건을 넘어선 뒤 꾸준히 증가한 결과입니다.전국 아파트 경매 건수는 올 3월부터 2000건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9월 임의 경매(채무자가 빚을 갚지 못하면 은행 등 부동산 담보 채권자가 담보권을 실행하는 것)를 통해 진행된 아파트 경매 건수만 912건으로 알려졌습니다.이는 8월 대비 11.9% 증가한 수치입니다.

 

누리꾼들은 "영끌로 주택 구매자들 죽을맛","영끌로 어려운 청년층을 위한 정부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등의 댓글을 달며 주담대 금리 상승에 따른 영끌족들의 이자를 우려하며 이들을 위한 정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반면 일부 누리꾼들은"누가 영끌하라고 강요한적 없으니 걱정하지 말아라", "빚도 능력이니 잘 버텨라"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

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

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

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

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

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

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