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부동산 시장 침체국면...집값·경매지표 일제히 하락

▷서울 집값 5월 셋째 주 이후 29주만에 하락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낙착율 각각 3.3%, 2% 하락

입력 : 2023.12.08 11:18 수정 : 2023.12.08 11:21
부동산 시장 침체국면...집값·경매지표 일제히 하락 2023년 12월 1주(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출처=한국부동산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부동산 시장이 침체 국면으로 전환되는 분위기입니다. 전국 집값 상승을 주도하던 서울이 7개월만에 하락 전환했습니다. 

 

8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2월 첫째 주(4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하락했습니다. 6월 셋째 주 이후 23주 만에 하락세로 돌아선 이후 2주 연속 내림세입니다.

 

수도권(-0.01%→-0.01%)과 지방(-0.02%→-0.02%)은 하락 폭을 유지했습니다. 다만, 서울(0.00%→-0.01%)이 하락 전환하면서 전체 시장을 끌어 내렸습니다.

 

서울 집값은 5월 셋째 주 이후 29만에 내렸습니다. 향후 주택시장 불확실성 등으로 매수관망세가 확대되고, 매물가격 하향조정 사례가 진행된 영향입니다.

 

하락 폭이 가장 큰 자치구는 강북·금천구로 각각 0.06% 떨어졌습니다. 강남구는 -0.05%, 마포·동작구 -0.03%, 서초구 -0.01% 등 순으로 내렸습니다.

 

부동산 시장의 선행지표로 여겨지는 경매시장 또한 빠른 속도로 얼어붙고 있습니다. 지난달 전국 아파트 경매 건수가 늘어난 가운데 낙찰가율과 낙찰률, 응찰자 수는 일제히 위축되고 있습니다.

 

경·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이 발표한 '2023년 11월 경매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경매는 2829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전월 대비 7.6%, 지난해 동월과 비교하면 48.6% 늘어난 수치입니다.

 

경매 물량이 쌓이는 가운데 경매 지표는 일제히 하락세를 보이며 부진한 시장 상황을 드러냈습니다.

 

지난달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전달보다 3.3%포인트 떨어진 80.8%를 기록해 7개월 만에 상승세를 멈췄습니다. 낙찰률은 37.8%로 전월보다 2.0%포인트 떨어졌고, 평균 응찰자 수는 0.3명 줄어든 6.0명이었습니다.

 

서울도 이런 한파를 피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경매는 281건으로 올해 5월 이후 지속해서 늘고 있습니다. 낙찰가율은 전달 대비 6.0%포인트 하락한 80.7%를 기록했습니다. 낙찰률은 28.5%로 전달보다 2.0%포인트 올랐으나 여전히 20%대를 벗어나지 못하는 낮은 수준에 머물렀고, 평균 응찰자 수도 전달 대비 0.3명 줄어든 5.5명에 그쳤습니다.

 

지지옥션은 "서울의 낙찰가율 상승을 견인하던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마저 위축되면서 전체 낙찰가율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