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 침체국면...집값·경매지표 일제히 하락
▷서울 집값 5월 셋째 주 이후 29주만에 하락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낙착율 각각 3.3%, 2% 하락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부동산 시장이 침체 국면으로 전환되는 분위기입니다. 전국 집값 상승을 주도하던 서울이 7개월만에 하락 전환했습니다.
8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2월 첫째 주(4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하락했습니다. 6월 셋째 주 이후 23주 만에 하락세로 돌아선 이후 2주 연속 내림세입니다.
수도권(-0.01%→-0.01%)과 지방(-0.02%→-0.02%)은 하락 폭을 유지했습니다. 다만, 서울(0.00%→-0.01%)이 하락 전환하면서 전체 시장을 끌어 내렸습니다.
서울 집값은 5월 셋째 주 이후 29만에 내렸습니다. 향후 주택시장 불확실성 등으로 매수관망세가 확대되고, 매물가격 하향조정 사례가 진행된 영향입니다.
하락 폭이 가장 큰 자치구는 강북·금천구로 각각 0.06% 떨어졌습니다. 강남구는 -0.05%, 마포·동작구 -0.03%, 서초구 -0.01% 등 순으로 내렸습니다.
부동산 시장의 선행지표로 여겨지는 경매시장 또한 빠른 속도로 얼어붙고 있습니다. 지난달 전국 아파트 경매 건수가 늘어난 가운데 낙찰가율과 낙찰률, 응찰자 수는 일제히 위축되고 있습니다.
경·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이 발표한 '2023년 11월 경매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경매는 2829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전월 대비 7.6%, 지난해 동월과 비교하면 48.6% 늘어난 수치입니다.
경매 물량이 쌓이는 가운데 경매 지표는 일제히 하락세를 보이며 부진한 시장 상황을 드러냈습니다.
지난달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전달보다 3.3%포인트 떨어진 80.8%를 기록해 7개월 만에 상승세를 멈췄습니다. 낙찰률은 37.8%로 전월보다 2.0%포인트 떨어졌고, 평균 응찰자 수는 0.3명 줄어든 6.0명이었습니다.
서울도 이런 한파를 피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경매는 281건으로 올해 5월 이후 지속해서 늘고 있습니다. 낙찰가율은 전달 대비 6.0%포인트 하락한 80.7%를 기록했습니다. 낙찰률은 28.5%로 전달보다 2.0%포인트 올랐으나 여전히 20%대를 벗어나지 못하는 낮은 수준에 머물렀고, 평균 응찰자 수도 전달 대비 0.3명 줄어든 5.5명에 그쳤습니다.
지지옥션은 "서울의 낙찰가율 상승을 견인하던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마저 위축되면서 전체 낙찰가율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