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아파트 경매건수는 늘어나는데 낙찰률은 떨어져...이유는?

▷서울아파트 경매 진행건수 193% 늘어...낙착률은 19% 하락
▷하반기 집값 추가 하락 우려에 경매 물건 구매하지 않은 탓

입력 : 2023.07.10 13:15 수정 : 2023.07.10 13:16
아파트 경매건수는 늘어나는데 낙찰률은 떨어져...이유는?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와 한국은행 금리동결 등 상황속에서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에 인파가 몰렸습니다. 다만 늘어난 진행건수에 비해 하반기 집값이 추가적으로 하락할 것이란 우려로 인해 낙착률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일 법원경매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올해 1~6월 서울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는 804건으로 전년동기(273건) 대비 193% 늘었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낙찰률(진행건수 대비 낙찰건수 비율)은 50%에서 31%로 하락했습니다. 진행건수가 증가한 만큼 낙찰이 되지 않아 낙찰률도 떨어진 겁니다.

 

실제 알짜 물건으로 평가받는 서울 재건축 단지들은 유찰을 거듭한 끝에 집주인을 찾았습니다. 강남구 은마 전용 104㎡형은 2번 유찰 뒤 지난 5월 22일 낙찰됐습니다. 26억5288만9000원으로 낙찰가율은 95.1%이었습니다. 지난해 11월 처음 경매로 나와 2회 유찰 뒤 낙찰까지 약 5개월이 걸렸습니다.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 5단지 전용 95㎡형은 지난 1월 12일 17억5250만원에 매각됐습니다. 지난해 10월 13일 첫 경매로 나와 2번 유찰된 뒤 낙찰까지 약 석 달이 소요됐습니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74.89%였습니다.

 

상반기 응찰자 최다 물건인 성북구 두산 전용 85㎡형은 3번 유찰 끝에 7억523만원에 낙찰됐습니다. 73명이 몰렸지만 낙찰가율은 71.2%에 불과했습니다. 서대문구 남가좌 현대 전용 115㎡형은 55명이 경합해 응찰자 수 2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낙찰가는 8억1219만원으로 낙찰가율은 67.4%에 그쳤습니다.

 

응찰자 수 상위 50개 중 낙찰가율 100%를 넘는 물건은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지분물건(138.3%), 강동구 한빛 전용 60㎡형 (106.6%), 영등포구 시범 전용 118㎡형(100.70%) 등 3개 뿐이었습니다.

 

이처럼 경매건수가 늘었지만 낙찰률이 떨어진 데에는 집값 추가 하락 우려가 가시지 않은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됩니다. 향후 가격이 더 떨어질 거란 예상 때문에 지금 당장 경매 물건을 구입하지 않는 겁니다.

 

실제 프롭테크 업체 직방이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1000 명을 대상으로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을 조사한 결과 45.9%가 '하락'을 전망했고, '상승'은 31.9%, '보합'은 22.2%로 나타났습니다. 올 하반기 집값에 대해 상승보다는 하락할 거란 전망이 아직까지는 우세한 셈입니다.

 

응답자를 거주 지역별로 나눠 보면 지방 거주자가 하락을 전망한 비율이 48.2%로 가장 높았고, 이어 서울 47.7%, 인천 46.2%, 지방 5대 광역시 45.3%, 경기 44.3% 순이었습니다.거주지역의 주택 전세 가격에 대해서는 45.6%가 '하락'을 전망했고, '보합'은 27.8%, '상승'은 26.6%로 각각 나타났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부동산 관계자는 "낙찰가율이 낮다는 것은 부동산시장에 대한 시장의 전망이 여전히 밝지 않다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면서 "이는 하반기에 기준금리 동결 기조가 계속되고 대출규제가 더 완화되지 않을거라는 생각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