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경매건수는 늘어나는데 낙찰률은 떨어져...이유는?
▷서울아파트 경매 진행건수 193% 늘어...낙착률은 19% 하락
▷하반기 집값 추가 하락 우려에 경매 물건 구매하지 않은 탓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와 한국은행 금리동결 등 상황속에서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에 인파가 몰렸습니다. 다만 늘어난 진행건수에 비해 하반기 집값이 추가적으로 하락할 것이란 우려로 인해 낙착률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일 법원경매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올해 1~6월 서울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는 804건으로 전년동기(273건) 대비 193% 늘었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낙찰률(진행건수 대비 낙찰건수 비율)은 50%에서 31%로 하락했습니다. 진행건수가 증가한 만큼 낙찰이 되지 않아 낙찰률도 떨어진 겁니다.
실제 알짜 물건으로 평가받는 서울 재건축 단지들은 유찰을 거듭한 끝에 집주인을 찾았습니다. 강남구 은마 전용 104㎡형은 2번 유찰 뒤 지난 5월 22일 낙찰됐습니다. 26억5288만9000원으로 낙찰가율은 95.1%이었습니다. 지난해 11월 처음 경매로 나와 2회 유찰 뒤 낙찰까지 약 5개월이 걸렸습니다.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 5단지 전용 95㎡형은 지난 1월 12일 17억5250만원에 매각됐습니다. 지난해 10월 13일 첫 경매로 나와 2번 유찰된 뒤 낙찰까지 약 석 달이 소요됐습니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74.89%였습니다.
상반기 응찰자 최다 물건인 성북구 두산 전용 85㎡형은 3번 유찰 끝에 7억523만원에 낙찰됐습니다. 73명이 몰렸지만 낙찰가율은 71.2%에 불과했습니다. 서대문구 남가좌 현대 전용 115㎡형은 55명이 경합해 응찰자 수 2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낙찰가는 8억1219만원으로 낙찰가율은 67.4%에 그쳤습니다.
응찰자 수 상위 50개 중 낙찰가율 100%를 넘는 물건은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지분물건(138.3%), 강동구 한빛 전용 60㎡형 (106.6%), 영등포구 시범 전용 118㎡형(100.70%) 등 3개 뿐이었습니다.
이처럼 경매건수가 늘었지만 낙찰률이 떨어진 데에는 집값 추가 하락 우려가 가시지 않은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됩니다. 향후 가격이 더 떨어질 거란 예상 때문에 지금 당장 경매 물건을 구입하지 않는 겁니다.
실제 프롭테크 업체 직방이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1000 명을 대상으로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을 조사한 결과 45.9%가 '하락'을 전망했고, '상승'은 31.9%, '보합'은 22.2%로 나타났습니다. 올 하반기 집값에 대해 상승보다는 하락할 거란 전망이 아직까지는 우세한 셈입니다.
응답자를 거주 지역별로 나눠 보면 지방 거주자가 하락을 전망한 비율이 48.2%로 가장 높았고, 이어 서울 47.7%, 인천 46.2%, 지방 5대 광역시 45.3%, 경기 44.3% 순이었습니다.거주지역의 주택 전세 가격에 대해서는 45.6%가 '하락'을 전망했고, '보합'은 27.8%, '상승'은 26.6%로 각각 나타났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부동산 관계자는 "낙찰가율이 낮다는 것은 부동산시장에 대한 시장의 전망이 여전히 밝지 않다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면서 "이는 하반기에 기준금리 동결 기조가 계속되고 대출규제가 더 완화되지 않을거라는 생각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