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아파트 경매건수는 늘어나는데 낙찰률은 떨어져...이유는?

▷서울아파트 경매 진행건수 193% 늘어...낙착률은 19% 하락
▷하반기 집값 추가 하락 우려에 경매 물건 구매하지 않은 탓

입력 : 2023.07.10 13:15 수정 : 2023.07.10 13:16
아파트 경매건수는 늘어나는데 낙찰률은 떨어져...이유는?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와 한국은행 금리동결 등 상황속에서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에 인파가 몰렸습니다. 다만 늘어난 진행건수에 비해 하반기 집값이 추가적으로 하락할 것이란 우려로 인해 낙착률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일 법원경매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올해 1~6월 서울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는 804건으로 전년동기(273건) 대비 193% 늘었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낙찰률(진행건수 대비 낙찰건수 비율)은 50%에서 31%로 하락했습니다. 진행건수가 증가한 만큼 낙찰이 되지 않아 낙찰률도 떨어진 겁니다.

 

실제 알짜 물건으로 평가받는 서울 재건축 단지들은 유찰을 거듭한 끝에 집주인을 찾았습니다. 강남구 은마 전용 104㎡형은 2번 유찰 뒤 지난 5월 22일 낙찰됐습니다. 26억5288만9000원으로 낙찰가율은 95.1%이었습니다. 지난해 11월 처음 경매로 나와 2회 유찰 뒤 낙찰까지 약 5개월이 걸렸습니다.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 5단지 전용 95㎡형은 지난 1월 12일 17억5250만원에 매각됐습니다. 지난해 10월 13일 첫 경매로 나와 2번 유찰된 뒤 낙찰까지 약 석 달이 소요됐습니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74.89%였습니다.

 

상반기 응찰자 최다 물건인 성북구 두산 전용 85㎡형은 3번 유찰 끝에 7억523만원에 낙찰됐습니다. 73명이 몰렸지만 낙찰가율은 71.2%에 불과했습니다. 서대문구 남가좌 현대 전용 115㎡형은 55명이 경합해 응찰자 수 2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낙찰가는 8억1219만원으로 낙찰가율은 67.4%에 그쳤습니다.

 

응찰자 수 상위 50개 중 낙찰가율 100%를 넘는 물건은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지분물건(138.3%), 강동구 한빛 전용 60㎡형 (106.6%), 영등포구 시범 전용 118㎡형(100.70%) 등 3개 뿐이었습니다.

 

이처럼 경매건수가 늘었지만 낙찰률이 떨어진 데에는 집값 추가 하락 우려가 가시지 않은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됩니다. 향후 가격이 더 떨어질 거란 예상 때문에 지금 당장 경매 물건을 구입하지 않는 겁니다.

 

실제 프롭테크 업체 직방이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1000 명을 대상으로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을 조사한 결과 45.9%가 '하락'을 전망했고, '상승'은 31.9%, '보합'은 22.2%로 나타났습니다. 올 하반기 집값에 대해 상승보다는 하락할 거란 전망이 아직까지는 우세한 셈입니다.

 

응답자를 거주 지역별로 나눠 보면 지방 거주자가 하락을 전망한 비율이 48.2%로 가장 높았고, 이어 서울 47.7%, 인천 46.2%, 지방 5대 광역시 45.3%, 경기 44.3% 순이었습니다.거주지역의 주택 전세 가격에 대해서는 45.6%가 '하락'을 전망했고, '보합'은 27.8%, '상승'은 26.6%로 각각 나타났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부동산 관계자는 "낙찰가율이 낮다는 것은 부동산시장에 대한 시장의 전망이 여전히 밝지 않다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면서 "이는 하반기에 기준금리 동결 기조가 계속되고 대출규제가 더 완화되지 않을거라는 생각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