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청년주거사다리' 오피스텔 매매·공급·낙찰률 일제 감소

▷매매, 2021년 4만3124건에서 지난해 3만3939건으로 반토막
▷올해 공급량 3만실에 그칠듯...오피스텔 낙찰률도 약 11%

입력 : 2023.10.06 10:17 수정 : 2023.10.06 10:37
'청년주거사다리' 오피스텔 매매·공급·낙찰률 일제 감소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청년주거사다리라고 불리는 오피스텔의 매매건수와 공급 그리고 경매시장에서도 낙찰률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습니다. 비아파트를 중심으로 역전세와 전세사기 우려가 커진데다가 아파트 시장이 회복으로 대체재인 오피스텔의 매력이 낮아진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5일 부동산R114 자료를 보면 1~8월 기준 전국 오피스텔 매매는 올해 1만7853건으로 전년 대비 47.4%(1만6086건) 줄었습다. 2021년 4만3124건에서 지난해 3만3939건으로 21.3%(9185건)로 감소했는데 올해는 거의 반 토막이 났습니다.

 

오피스텔 거래 둔화는 전국 물량의 70%가 밀집한 수도권에서 더욱 두드러졌습니다. 지방은 지난해 8692건에서 올해 6081건으로 30.0%(2611건) 줄었는데 수도권은 같은 기간 2만5247건에서 1만1772건으로 53.4%(1만3475건) 감소했습니다.

 

수요 뿐만 아니라 건설경기 및 수익형 부동산 시장 침체 영향으로 오피스텔 공급량도 감소하는 분위기입니다. 4일 기준 2023년 전국 오피스텔 분양물량(예정 포함)은 2022년 실적 대비 8183실(30.8%) 감소한 1만8404실로 집계됐습니다. 작년부터 분양물량이 크게 줄었고, 분양에서 입주까지 2~3년여 정도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2024년 오피스텔 입주물량은 3만실 정도에 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연초 주택시장 규제 완화 이후 수도권 중심으로 아파트 시장이 빠르게 회복되면서 대체재인 오피스텔의 매력이 낮아진 것이 거래 급감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습니다.

 

오피스텔은 경매시장에서도 외면받고 있습니다. 경·공매 데이터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오피스텔 낙찰률은 11.3%를 나타냈습니다. 전체 142건 중 단 16건만 낙찰됐습니다. 10건 중 1건만 겨우 낙찰자를 구했다는 뜻입니다. 전달(12.9%)와 비교해 1.6%p 내린 수치입니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율)도 88%에 그쳤습니다.

 

서울에 중구에서 부동산공인중개사를 운영하는 A씨는 "금리, 전세 사기 등의 여파로 오피스텔 매수세가 메말랐고, 지난 1월 정부의 전방위적 부동산 규제 완화로 반등세를 보인 아파트와 달리 그동안 아파트 대상의 규제로 반사이익을 누리던 오피스텔은 찬밥 신세로 전락했다"면서 "금리가 오르면 수익이 낮아지는 구조인 만큼 고금리 장기화도 수익형 부동산인 오피스텔엔 직격탄이다. 전세 사기, 깡통전세 등의 사회적 문제도 오피스텔과 빌라에 집중되다 보니 수요자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주택공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오피스텔·도시형생활주택 등 비(非) 아파트의 공급규제 완화 방안을 검토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비아파트의 건축·금융 규제 등을 완화해 사업성을 높인다는 목적입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