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첫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제주도 및 전남에서 발견
▷ 지난 24일부터 26일간 채집된 모기 42마리 중 10마리가 '작은빨간집모기' ▷ 질병관리청, 적극적인 예방접종 권고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5.03.28
이번 주 내내 전국 꽁꽁...질병청 "한랭질환 주의" 당부
▶질병청, 계속되는 강추위에 한랭질환 예방 및 건강관리 당부 ▶”급격한 온도 변화에 저체온증, 동상 등 주의 필요”
사회·정치 > 전국 | 이정원 기자 | 2025.02.04
9월 20일부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실시... "백신 접종 적극 권장"
▷ 6개월 ~ 13세 어린이, 임신부 등 접종 대상자 ▷ 전자예진표 도입, 접종 당일 작성해야 효력 발휘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9.18
요람에서 무덤까지, 강아지와 고양이에 따라 양육 방식 달랐다
▷데이터 분석 전문기업 '오픈서베이', 반려동물 트렌드 리포트 2024 발간 ▷"강아지와 고양이에 따라 양육 방식 차이 있어"
종합 > 동물 | 이정원 기자 | 2024.08.20
코로나19 급증세, 치료제 구매에 3천억 예산 편성
▷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치료제 약 26.2만명 분 구매 예산 확보 ▷ 엠폭스 대응체계 강화, 예방백신 2만 도즈 보유
사회·정치 > 전국 | 김영진 기자 | 2024.08.19
백일해 전국 유행 중, 예방접종 필수적
▷ 지난 6일 기준 백일해 환자 약 7천 명 ▷ 소아청소년이 전체의 91.9%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7.16
올해를 끝으로 사라지는 선별진료소…코로나19 위기단계는 ‘경계’ 유지
▷코로나19 선별진료소 올해를 끝으로 운영 종료 ▷코로나19 위기 경보 수준은 ‘경계’ 유지
사회·정치 > 전국 | 이정원 기자 | 2023.12.15
OECD의 음울한 세계경제 전망... 고물가+저성장
▷OECD, "1970년 이후 최고 수준의 에너지 쇼크 직면" ▷물가 ↑, 저소득 국가의 부채 부담 ↑, 식량 시장의 위험성 ↑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2.11.23
정부, 코로나 재유행 가능성 높아... 위기단계 조정 검토해야
▷코로나ㆍ독감 예방접종으로 7차 대유행 대비 ▷ 코로나 19 유행 상황에 따라 위기단계 조정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2.10.18
코로나 확진 10주 만에 최저…독감 예방접종 오늘 시작
▷신규 확진자 수 4만1286명…전날보다 6천명 줄어 ▷동절기 접종 계획 발표…”모더나 2가 백신으로 시행” ▷어린이, 임심부, 고령층 대상… 동네 병∙의원 등 무료 접종 가능
사회·정치 > 전국 | 류으뜸 기자 | 2022.09.2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