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를 끝으로 사라지는 선별진료소…코로나19 위기단계는 ‘경계’ 유지
▷코로나19 선별진료소 올해를 끝으로 운영 종료
▷코로나19 위기 경보 수준은 ‘경계’ 유지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의료기관과 보건소에서 운영 중인 코로나19 선별진료소가 올해를 마지막으로 운영이 종료됩니다.
15일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일반의료체계 전환을 위해 선별진료소는 오는 31일까지 운영하고
지정격리병상을 해제해 대응체계를 합리적으로 개편한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범부처 차원의 유기적∙안정적인 대응을 위해 코로나19 위기 경보 수준은 현재 단계인
‘경계’로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감염병 위기 경보 단계는 ‘심각-경계-주의-관심’ 단계로 이뤄지며, 코로나19의 경우 지난 6월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정된 바 있습니다.
고위험군 등에 무료 PCR 검사를 해왔던 보건소 선별진료소 506곳의 운영은 이달 31일 자로 중단되면서 2020년 1월 20일 가동을
시작했던 코로나19 선별진료소는 이달 말까지 1441일의
운영을 마치고 사라지게 됐습니다.
다만 PCR 검사는 60세
이상 고령층과 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과 요양시설 입소자와 간병인 등은 지금처럼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아울러
먹는 치료제와 예방접종비도 무료 지원이 유지되고, 입원 치료비의 경우 중증일 경우 일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편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증감을 반복하며, 이달 첫째 주에는 전주 대비 1% 증가한 데 그쳤습니다.
1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국 527개
표본감시 의료기관을 통해 신고된 이달 1주차(12월 3~9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6천791명으로,
일평균 970명이었습니다. 이는 전주 대비 96명 증가한 수치입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지난 8월
둘째 주 이후 10주 연속 감소하다가 10월 넷째 주부터
지금껏 증감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최근 4주간을 보면 셋째 주에는 직전 주 대비 1% 줄었다가 넷째 주에는 13% 증가했고, 직전 주인 지난달 다섯째 주에는 6% 감소했다가 이번에 다시 소폭
증가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