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5

출처=수기총

거룩한방파제 통합국민대회 "반사회적인 성혁명 막아낼 것"

▷여의도 국회소통과서 기자회견 열어 ▷국민 76.1% "퀴어축제, 가족과 참여할 만한 행사 아냐"

사회 > 사회 일반    |   류으뜸 기자    |   2024.05.30

7일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 주최로 2023 제24회 퀴어축제 개최 발표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왼쪽부터 양은석 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 사무국장, 양선우 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 위원장, 김가희 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 집행위원 출처=위즈경제

퀴어문화축제, 을지로서 개최..."성소수자 행사, 어디서나 열릴 수 있어야"

▷참여연대 2층 아름드리홀에서 기자회견 개최 ▷양성우 조직위원장 "서울광장 사용 불허...편견에서 비롯된 판단" ▷김가희 집행의원 "안전을 고려해 평평한 도로인 을지로 선택"

사회 > 사회 일반    |   류으뜸 기자    |   2023.06.08

7일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 주최로 2023 제24회 퀴어축제 개최 발표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왼쪽부터 양은석 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 사무국장, 양선우 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 위원장, 김가희 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 집행위원  출처=위즈경제

서울퀴어축제, 오는 22일부터 18일간 을지로에서 개최

▷2023 제24회 서울퀴어문화축제, 6월 22일을 시작으로 18일간 진행 ▷서울퀴어퍼레이드·한국퀴어영화제 등 다채로운 행사들로 구성 ▷을지로2가 일대에서 부스⋅무대행사 및 을지로⋅소공로 등 서울 중심부 행진

사회 > 사회 일반    |   류으뜸 기자    |   2023.06.07

2022년 서울광장을 빌려 진행된 서울퀴어문화축제 현장 (출처:=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

퀴어문화축제 서울광장 사용 불허... "회의 결과" Vs "차별 제도화"

▷ 서울시, 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 서울광장 사용 불허 ▷ 일정 겹친 CTS재단의 '청소년/청년을 위한 회복콘서트'에 우선순위 둬 ▷ 조직위,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 깔려 있어"

사회 > 사회 이슈    |   김영진 기자    |   2023.05.10

(출처=서울퀴어문화축제 홈페이지)

[기획] 3년 만에 돌아온 퀴어축제... '갑론을박' 여전

▷ 3년 만에 열린 서울퀴어문화축제 ▷ 노출 등의 문제를 두고 찬반 대립 팽팽 ▷ 차별금지법, 그 동안 국회 문턱 넘지 못해

기획·인터뷰 > 기획연재    |   류으뜸 기자    |   2022.07.22

  • 1

Best 댓글

1

다양성의 가치가 존중되는 2024년에 구시대적인 교육청 인사들의 인식이 아쉬울 뿐입니다. 저런 인식을 가진 사람들이 교육정책을 추진하며, 자의적 해석으로 유아교육, 유아특수교육을 퇴보시키고 있습니다

2

중증 발달장애인 탈시설 및 지역사회 자립은 탁상행정입니다. 실상을 모르니까 탈시설이라는 말을 쉽게 하는 겁니다. 최소한의 신변 처리도 어려운 중증 장애인들에게 거주시설은 가장 안전하고 합리적인 삶의 자리입니다.

3

일반 성인에 비해 평균수명이 현저히 낮고, 사고발생율이 50% 더 높은 발달장애인의 경우 재난에는 특히 더 취약하여 자립지원주택에서는 생존의 위협을 받을 수 있다”며, “특히, 건강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질병에 노출된 이들을 의료 인력이 충분한 중증장애인 요양시설에서 편안히 거주하게 해야 한다”

4

자립불가능한 장애인을 탈시설로 시설폐쇄를 하려는 의도가 무엇일까요??? 그들이 부르짖는 인권은 이권의 다른 이름입니다 누가 2살의 말도 못하고 죽음도분별하지못해 도로로 뛰어드는 중증장애인을 자립하라고 합니까??? 전장연과 부모연대는 당사자가 아닙니다 무조건 탈시설은 중증장애인에게는 죽음입니다

5

전장연은 지체장애인으로 이루어진 단체. 지체장애인들은 인지가 비장애인과 같습니다. 자립의 대상은 지체장애인이며, 전국의 너느 거주시설에도 지체장애인은 없습니다. 즉 지체장애인단체인 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닙니다. 무조건 탈시설은 중증장애인에게는 죽음입니다.

6

유호준 의원은 중증장애인과 단 하루라도 살아보고 자립지원조례안을 만들어 보시오. 중증장애인들과 뭘 어떻게 어느만큼 소통하고 이런 정책을 만들었는지 한심하다 못해 우리의 세금으로 이런 의원들의 세비까지 줘야하는 현실이 매우 부끄럽고 참담합니다.

7

모든 장애인의 장애 정도가 다 동등하지 않습니다. “의사표시와 활동이 어느 정도 가능한 경증장애인, 그것이 거의 불가능한 중증장애인에 대한 정책은 달라냐합니다. 자립할 수 잇는 장애인들은 자립하고, 사회적 인지기능이 3세정도인 중증발달장애인들은 거주시설에서 보호받아야 합니다. 거주시설은 반드시 존치되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