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서울퀴어축제, 오는 22일부터 18일간 을지로에서 개최

▷2023 제24회 서울퀴어문화축제, 6월 22일을 시작으로 18일간 진행
▷서울퀴어퍼레이드·한국퀴어영화제 등 다채로운 행사들로 구성
▷을지로2가 일대에서 부스⋅무대행사 및 을지로⋅소공로 등 서울 중심부 행진

입력 : 2023.06.07 12:05 수정 : 2023.06.07 13:40
서울퀴어축제, 오는 22일부터 18일간 을지로에서 개최 7일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 주최로 2023 제24회 퀴어축제 개최 발표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왼쪽부터 양은석 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 사무국장, 양선우 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 위원장, 김가희 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 집행위원 출처=위즈경제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 7일 오전 10시 참여연대 아름드리홀(서울 종로구 자하문로9길 16)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2023 제24회 서울퀴어문화축제 개최를 발표했습니다.

 

2023 제24회 서울퀴어문화축제에서는 서울퀴어퍼레이드, 한국퀴어영화제, 온라인퀴어퍼레이드, 레인보우 굿즈전이  6월 22일부터 7월 9일까지 총 18일간 열립니다. 올해의 슬로건은 “피어나라 퀴어나라”로서, 성소수자의 평등한 권리와 인권에 대한 염원과 의지를 표현했습니다.

 

2023 제24회 서울퀴어퍼레이드는 7월 1일 을지로2가 일대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예년처럼 서울 도심을 행진합니다. 서울퀴어퍼레이드 현장에서는 여러 분야의 시민사회단체, 각국 대사관, 기업 등의 부스들이 운영되며, 공연과 연대발언도 볼 수 있습니다. 한국퀴어영화제는 대한극장, 그리고 OTT 플랫폼 퍼플레이를 통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영이 함께 진행됩니다. 온라인 행사들인 온라인퀴어퍼레이드와 레인보우 굿즈전에서는 온라인의 대안적 성격을 활용한 캠페인이 펼쳐질 예정입니다.

 

서울퀴어문화축제는 연간 15만 여명이 참석하는 국내 최대 민간 축제로 ‘퀴어 명절'이라는 애칭으로도 불리며, 성소수자 당사자는 물론 성소수자들의 인권과 권리를 지지하는 시민(앨라이, Ally) 공개 문화 행사입니다. 또한 해외의 성소수자 자긍심 행진인 프라이드 퍼레이드와 궤를 함께하는 동시에, 영화제를 비롯해 다양한 행사들이 함께하는 복합 문화 행사의 특성을 띄고 있다는 게 조직위 측 설명입니다.

 

조직위는 “한국 사회의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DE&I,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을 확인할 수 있는 곳이 바로 서울퀴어문화축제의 현장”이라면서, 서울퀴어퍼레이드 장소 확보 등 많은 어려움을 겪었어도 꿋꿋이 모든 행사를 개최하는 것이야말로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혐오에 굴하지 않겠다는 의미를 갖고 있는 것임을 강조했습니다.

 

조직위는 올해 서울퀴어퍼레이드 집회신고를 위해 3개 경찰서에서 89시간에 걸쳐 이어진 ‘무지개 줄서기'를 진행하였고, 줄서기에는 자발적으로 모인 64명의 시민이 함께했습니다. 조직위는 “서울시를 비롯해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적 행정과 노골적인 혐오와 편견이 사회에 만연한 현실에도 많은 시민들이 밤을 지새워가며 줄서기에 참여한다는 사실 자체가 축제가 멈추지 않고 계속 열려야만 하는 이유이다”라고 축제 개최의 의의를 밝혔습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예수회 인권연대연구센터’ 소장 박상훈 신부, 배진교 ‘대구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장, 양지혜 ‘청소년 페미니스트 네트워크 '위티'’ 운영위원장, ‘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집행위원 장서연 변호사, 정정은 ‘문화연대’ 사무처장이 연대발언하였으며, 장혜영 국회의원(정의당), ‘서울퀴퍼 서울광장 사용 불허 규탄 대학가 무지개행진’, 민규 경남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장이 함께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