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 먹고 208명 집단 감염…살모넬라균 발생 증가, 보관제품 섭취 중단 당부
▷충북·세종·전북서 연쇄 발생…회수조치 제품, 유전형 동일 균 검출 ▷덥고 습한 날씨에 살모넬라 감염 증가…“익히고, 씻고, 신고”
사회·정치 > 전국 | 김영진 기자 | 2025.06.13
감귤, 딸기 가격 증가세... "물가 안정에 힘쓸 것"
▷ 지난 여름, 폭염으로 작황 부진 ▷ 딸기 재배면적 늘었으나 소비 증가해 가격 강세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12.19
호우로 농작물 12,386ha 피해 입어... 물가에 악영향 미칠까
▷ 지난 9월 19일 호우 피해로 농작물 12,368ha 피해, 가축 22만여 마리 폐사 ▷ 전남 8,536ha 등 가장 큰 피해 입어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9.23
국내 임가, 지난해에 3,783만 원 벌었다
▷ 임업소득은 줄어든 반면, 임가 지출은 증가 ▷ 산림청, "임가소득 향상 위해 규제 개선 등 다양한 정책 펼치고 있어"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5.31
정부 노력에도 농축수산물 물가 고공행진... 2월 소비자물가지수 3.1% ↑
▷ 신선식품지수 전년동월대비 20.0% 증가, 농축수산물 물가는 11.4% ↑ ▷ 사과, 귤 등 과일 위주로 증가세 보여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3.06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8%... 향후 전망은 '불안'
▷ 농축수산물 전년동월대비 상승률 8.0%... 파프리카 가격 전월보다 43.4% 올라 ▷ 6개월 만에 2%대로 돌아왔지만.. 한국은행, "상방요인과 하방요인 혼재되어 있어 불확실성 크다"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2.02
12월 생산자물가지수 증가세... 사과·딸기 등 농산품이 견인
▷ 12월 생산자물가지수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1.2% 증가 ▷ 딸기와 사과의 증가세 상당해... 딸기는 전월대비 122.3% 늘어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1.23
미생물로 물 절약하고, 신재생에너지로 냉난방하고… “탄소중립 기반 마련”
▷ 미생물 처리하고 10주 동안 물 안 줘도 '정상' ▷ 지열의 단점을 태양광/열로 확보
산업 > 산업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3.10.17
기부하면 세액공제에 특산품이.. '고향사랑기부제' 성공할 수 있을까
▷ '고향사랑기부제' 내년도 1월 1일부터 시행... 개인 기부금 한도액 500만 원 ▷ 일본의 '고향납세제' 차용해 ▷ 10만원까지 전액 세액 공제에 금액의 30%에 해당하는 답례품 제공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김영진 기자 | 2022.12.29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저도 창원 출신인데 정말 공감되는 글이네요 ㅠㅠ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7자립이 불가능한 장애인을 자립하라고 시설을 없애는것은 중증발달장애인에 대한 폭거입니다 사회적 약자에 대해 따뜻한 시선으로 기사써주시는 기자님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