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올해 ‘위드 코로나’가 본격화하면서 국민 여가 생활에 변화가 생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집 근처를 산책하거나 TV로 OTT를
시청하는 등 실내 활동에서 벗어나 극장이나 공원을 찾는 등 행동반경이 넓어졌습니다. 특히 직장 내 연차
사용이 늘고, 여가 시간에 대한 만족도도 높아졌습니다.
29일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함께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올해 문화예술행사 직접 관람률은 58.1%로, 지난해 보다 24.5%나 상승했습니다.
관람률 지표는 국민들의 문화 누림 정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관람률이 높아졌다는 것은 그만큼 국민들의 문화생활이
확대됐음을 의미합니다.
관람률은 코로나 이전인 2019년 81.8%까지
상승했지만 코로나 확산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 지난해에는 33.6%까지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단, 관람률 회복은 연령별∙소득별로 차이가
있었습니다. 코로나 취약계층인 70세 이상 고연령층은 관람률이
5.6%에서 14.8%로 9.2%
포인트 회복하는데 그쳤습니다. 반면 20대는
위드 코로나 이후 실외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63.8%에서 90.6%로
급격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득별로는 월 가구 소득 600만원 이상 고소득층도 같은 기간 관람률이
24.7%포인트 상승해 저소득층 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이와 함께 위드 코로나 이후 가족∙친구와 함께 여행을 가는 등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나홀로 여가
활동’이 줄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혼자 여가 활동을 즐기는 비율이 63.6%에서 51.8%로 하락했습니다. 대신 가족 또는 친구와 함께하는 비율은 각각
4.7%, 5.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차 휴가를 사용하는 사람들도 늘었습니다. 근로자의 연차 휴가 소진율은
76.1%로 전년에 비해 4.5% 상승했습니다. 다만 5일 이상 장기 휴가 경험률은 9.5%로 10%를 밑돌았습니다. 연차
휴가 사용 문화가 확산됐지만 해외 여행이 아직 코로나 이전 수준만큼 활성화되지 않아 휴가를 짧게 자주 쓰는 패턴이 여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야외 활동이 늘어났지만 코로나의 위협은 여전합니다.
29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7만명대 초반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1주일 전인 지난 22일 7만
5729명보다는 4302명 적은 수치입니다.
하루 신규 확진자 규모는 잠시 정체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사망자수는 꾸준히 증가해 넉 달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날 사망자는 76명으로 지난 9월
4일 79명 이후 116일
만에 가장 많은 수를 기록했습니다. 누적 사망자 수는 3만
2027명으로 늘었고, 전체 확진자 중 사망자를 뜻하는 치명률은
0.11%를 유지했습니다.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는 위중증 환자는 590명으로 12일째 500명대를 보였습니다.
전날 동절기 개량백신 접종은 7만 4759명이
참여해 전체 인구 대비 접종률은 10.7%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
6와~~이런 개***회사가 코스닥에 상장 했다니..ㅠ 힘으로 밀어 부치며 불법과 사기로 회사 재무도 건전한 회사가 고의로 상폐시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액주주들 몫!!!ㅠㅠ
7믿지못할 일이 눈앞에서 벌어졌네요. .도대체 주주총회에 왜 주주가 입장이 안되는거죠? 말만 주주총회 입니까!! 이 어처구니없는 사실들이 널리 알려져야겠어요.피같은돈 그냥 지들맘대로 없애려 하다니 대유경영진은 전원 사퇴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