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날로 커지는 밀키트 시장, 편하지만 절반 이상이 나트륨 권장량 초과

입력 : 2022.12.28 16:15 수정 : 2022.12.28 16:32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고물가불경기가 계속되면서 연말에 외식 대신 홈파티를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특히 요리에 자신 없는 사람도 손쉽게 조리할 수 있는 밀키트를 찾는 고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28일 이마트에 따르면 이달 20일부터 26일까지 이마트의 밀키트 매출은 전월 대비 60% 증가했습니다. 롯데마트에서는 밀키트 매출이 50%, 홈플러스에서는 46% 늘었습니다.

 

온라인몰에서도 밀키트의 독주는 계속됐습니다. SSG닷컴에서 밀키트 매출이 전월 대비 46% 증가했습니다. 특히 연말 홈파티 수요를 반영하듯 연령별로는 20대에서 가장 높은 매출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G마켓에서는 폭립(163%), 스테이크돈까스(85%), 샐러드(15%), 파스타(14%) 등 매출이 늘었습니다. 11번가에서는 한식(145%), 양식(199%), 중식동남아(422%), 분식야식(78%) 등 밀키트 매출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롯데ON에서는 밀키트쿠킹박스 판매가 50%, 마켓컬리에서는 밀키트 매출이 82% 급증했습니다.

 

이러한 밀키트의 인기를 반영하듯 한국은 전세계에서 밀키트 구매 경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독일의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가 주요 56개국 성인(18~64)을 대상으로 최근 1(202110~20229) 사이 온라인으로 밀키트를 구매한 경험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은 19%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인도(16%), 영국(12%), 미국(9%)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른 조사에서는 국내 밀키트 시장 규모는 20181017억원에서 20212587억원으로 154% 급증했고 2025년에는 5467억원까지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가성비와 맛을 겸비한 밀키트라도 건강에는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대형할인점에서 판매 중인 감바스 알 아히요(스페인 새우요리), 부대찌개, 불고기 전골, 짬뽕 등 4종의 100개 제품 나트륨 함량을 검사한 결과, 51개 제품이 1일 나트륨 기준치인 2000mg를 초과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제품 품목별 1인분당 평균 나트륨 함량은 부대찌개 2762mg, 짬뽕류 2610mg, 불고기 전골 1560mg, 감바스 알 아히요 1066mg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1일 나트륨 기준치의 53~138%에 달하는 수치입니다.

 

1인분당 나트륨 함량이 하루 기준치를 넘은 51개 제품 중 부대찌개는 31, 불고기 전골 6, 짬뽕류 14개였습니다.

 

아울러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밀키트 제품 영양정보 표시 여부도 확인했습니다. 조사 결과, 100개 제품 중 21(21%)만이 포장지나 판매 누리집 등에 영양정보를 표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시는 소비지가 영양정보를 확인하고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각 제조사에 자율적 영양표시를 독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밀키트를 건강하게 섭취할 경우에 조리법을 따르되 양념의 양을 조절하고, 나트륨 배출에 도움이 되는 채소를 추가해 조리하는 등을 실천해 나트륨 섭취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박유미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시민들은 건강을 위해 밀키트 섭취 시 양념을 줄이거나 채소를 곁들이는 방법으로 나트륨 저감식습관을 적극 실천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