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 정부가 사상 첫 고독사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지난해 3378명이 홀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독사 예방법에 따르면 ‘고독사’는 가족, 친척 등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홀로 사는 사람이 자살∙병사 등으로 혼자 임종을 맞고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 시신이 발견되는 죽음을 가리킵니다.
14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2년
고독사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고독사한 인원은 3378명으로
전년(3279명) 보다 3.0%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독사 사례는 2017년 2천412건, 2018년 3천48건, 2019년 2천949건, 2020년 3천279건, 지난해 3천378건 등 총 1만5천66건으로 지난 5년 사이 연평균 8.8%
증가했습니다.
지난해의 경우 전체 사망자 31만 7680명
중 고독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1.1%에 달했습니다. 사망자
100명 중 1명 이상이 쓸쓸한 죽음을 맞은 것입니다.
이같은 고독사 증가세는 1인 가구 중심으로 가족 구조가 변화하고 주변
사람들과의 단절이 늘어나기 때문이라고 정부는 분석했습니다.
여기에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우울증과 불안장애 또한 고독사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우울증과 불안장애 진료현황 분석’ 자료에 따르면 우울증 환자 수는 코로나19 유행 전인 2019년 81만1862명에서 작년 93만3481명으로 15% 늘어났습니다. 환자 수는 20대에서 가장 많았고 증가 폭도 45.2%로 가장 컸습니다.
특히 20대는 외로움 문제에도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에 따르면 “젊은 세대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SNS에 올려진 타인의 게시물로 인해 직∙간접적인 박탈감으로 인해
외로움을 느낀다”고 분석했습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외로움과 우울증을 느끼는 사람이 늘어날수록
자살자, 고독사 사망자 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코로나에 지친 정신 건강을 관리할 정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대유 하는짓 보면 기가 찹니다
2대한민국 주식시장을 쓰레기 투기장으로 만든 정치인들은 알면서도 내비두는거지? 대표의 고의적인 잘못을 주주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입게 내비두는 것이 진정 국가가 존개한다라고 볼 수 있나? 개인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상법개정을 하루빨리 시행해라.
3이번일을 계기로 국내 주식시장에 경종을 울리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더이상 주가조작세력을 묵인해선 안될것입니다.
4주가조작세력 및 범죄지들이 국내 주식시장을 어지럽히는 문제점을 없어져야 합니다.
5소액주주 권리, 꼭 찾을 수 있다는 희망의 기사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긴 시간 회사의 횡포에도 굳건한 대유 소액주주 연대 항상 응원합니다. 꼭 이루어지길 빌면서…
6귀한정보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
7대유 소액주주연대 화이팅하세요. 기자님~ 정확한 정보 기사화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 기사 계속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