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 #분사형 살균소독제 20개 제품 중 3개 제품 살균력 떨어져
한국소비자원이 온라인에서 판매되고 있는 분사형 살균소독제 20개 제품에
대한 살균력과 안전성 실태 등을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은 표시∙광고 대비 살균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5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살균력이
99.9% 이상’이라고 표시∙광고한 살균소독제
20개 중 3개 제품이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살균력이 낮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제품은 ㈜LG생활건강 ‘세균아
꼼짝마 살균 99.9% 소독 스프레이’와 에이치케이메디의
‘센스후레쉬 제로몬스터Ⅱ’, ㈜제이앤케이사이언스의 워터살균제입니다.
이들 3개 업체는 소비자원의 시정 권고에 따라 해당 제품의 판매를
중단 및 회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밖에도 일부 제품은 일반용 살균소독제임에도 장난감 등 어린이용품에 사용해도 되는 것처럼 표시했습니다.
차아염소산, 과산화수소 등의 성분이함유된 일반용 살균소독제는 어린이용품으로
표시∙광고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메디크로스, 반다헬스케어, 프레이바이오, 에이치케이메디, 엠씨씨바이오, 케이바이러스연구소
등 6개 제품은 일반용 살균소독제로 신고했으나 어린이용품에 사용해도 되는 것처럼 표시했습니다.
6개 업체는 소비자원 시정 권고에 따라 제품의 표시∙광고를 수정할
계획입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를 통해 해당 사업자에 제품 판매 중단과 회수, 개선 등을 권고하는 한편 관계부처에 관리 감독 강화를 요청할 계획입니다.
#소비자원 사칭 문자메시지 주의
한국소비자원은 한국소비자원을 사칭한 스미싱 문제메시지를 받았다는 소비자상담이 지속적으로 접수되고 있어 소비자들에게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올해 9월 말까지 유사한 내용의 상담이 4000여건 접수되면서 소비자원 사칭 스미싱 문자메시지 발송이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소비자원에 접수된 상담 사례를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이 수신한 문자메시지에는
‘국제(해외)발신’ 문구와 허위 해외 결제 내역 등을 소비자원에 문의하라는 거짓 연락처가 기재돼 있었습니다.
소비자가 해당 번호로 전화를 걸면 한국소비자원 또는 1372소비자상담센터를
사칭해 개인정보 및 금융정보를 제공할 것을 요구하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에 소비자원 관계자는 “소비자원과 1327소비자상담센터는 개인 거래 및 결제와 관련한 문자메시지를 발송하지 않는다면서 유사한 문자를 받게 될 경우, 통화를 하지 말고 해당 문자메시지를 즉시 삭제해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스미싱 문자로 경제적 피해를 입었거나 피해가 우려될 경우, 경찰청
사이버수사국에 즉시 신고하고, 피해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불법스팸대응센터(국번없이 118번)에도
신고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4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5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6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7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