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 대만에서 한파로 100명 가까운 사망자가 발생한 가운데 한국도 안심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18일 대만 소방당국에 따르면 지난 16~17일 북부 타이베이에서 20명,
타오위안 13명,남부 가오슝 13명 등 한파 사망자가 잇달아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당국은
사망자 급증을 한파 영향으로 단언할 수 없지만 이번 한랭기단의 위력이 크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대만은 한겨울에도 평균기온이 영상 10도 이상을 유지해 한파에
대비한 난방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때문에 대만은 매년 겨울 기습 한파가 찾아오면 수백 명이 사망하는 일이 반복되어 왔습니다. 올해 1월에는 북극발 기습 한파로 126명이 사망했고, 2018년 1월에도
한파로 인해 134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이처럼 한파로 인한 급격한 온도 변화가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한국도 안심할 수 없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8년 1월
평균 2만 명대였던 월 사망자가 3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당시 통계청은 이례적인 한파를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아침 기온이 영하 12도 아래로 내려가는 한파 일수가 한 달 새 12일에 달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특별한 원인 때문에 평소보다 사망자 수가 증가하는 것을 ‘초과사망’이라고 합니다. 한파로 인한 초과사망은 주로 한파가 지나간 후에 나타나는
경향을 보입니다.
질병관리청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한파가 발생한 후 일주일 동안의 사망자 수를 분석했습니다.
조사 결과 영하 5도 안팎의 한파가 있었을 때 사망자는 1839명이었고, 영하 5도에서
12도 사이의 한파가 지나간 뒤에는 2464명으로 기온이
낮을수록 더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연령별로 살펴봤을 때 65세 이상의 고령층이 가장 많았고 주된 사망
원인은 심장 질환이나 고협압, 폐렴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질병관리청은 “갑작스러운 한파 상황에서는 신체 적응력 감소로 한랭질환에
취약해질 수 있다”면서 “한파시 실외활동을 자체하고, 외출할 때는 모자∙목도리∙장갑 등으로 보온에 신경쓸 것”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올겨울은 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균보다 낮은 ‘라니냐 현상’으로 예년보다 한파가 더 잦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
6와~~이런 개***회사가 코스닥에 상장 했다니..ㅠ 힘으로 밀어 부치며 불법과 사기로 회사 재무도 건전한 회사가 고의로 상폐시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액주주들 몫!!!ㅠㅠ
7믿지못할 일이 눈앞에서 벌어졌네요. .도대체 주주총회에 왜 주주가 입장이 안되는거죠? 말만 주주총회 입니까!! 이 어처구니없는 사실들이 널리 알려져야겠어요.피같은돈 그냥 지들맘대로 없애려 하다니 대유경영진은 전원 사퇴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