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전국에 많은 눈이 내리면서 도로 곳곳이 얼어붙어 빙판길 교통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지난 21일 서울 노원구에서는 초등학생 37명이 탄 통학버스가 미끄러져 신호등과 부딪히는 사고가 났고 경북 경주시 내남면 경부고속도로에서는 25t 탱크로리가 앞서 사고가 난 차량을 피하다 전도되기도 했습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어제 하루 눈과 비로 발생한 교통사고가 26건에
이른다고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빙판길 사고를 막기 위해선 ‘타이어 관리’가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타이어는 안전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만큼 마모 상태, 공기압 체크, 파손 부위 점검 등이 필수적이라고 설명합니다.
특히 겨울철 안전 운행을 위해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할 것을 강조합니다.
겨울철 타이어는 수시로 변화하는 겨울철 노면 상태에 맞춰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제공하고 낮은 기온에서도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기 때문입니다.
타이어의 마찰력은 온도와 노면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데, 타이어 주원료인
고무는 기온이 떨어지면 딱딱해지는 ‘경화’ 현상으로 인해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겨울용 타이어는 여름용, 사계절용 타이어와 달리 특수 고무
컴파운드 배합을 적용해 영상 7도 이하의 낮은 온도에도 쉽게 경화되지 않아 추운 날씨에도 충분한 접지력을
보여줍니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러지가 진행한 테스트에 따르면, 눈길에서 시속 40km로 달리다 제동할 경우 겨울용 타이어는 제동거리가 18.49m에
불과한 반면 사계절용 타이어는 37.84m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겨울용 타이어 교체 시 앞바퀴 혹은 뒷바퀴 두 개만 교체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는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습니다.
일부 타이어만 교체할 경우, 접지력이 한쪽으로 쏠리며 차선을 이탈하는
등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겨울용 타이어는 네 바퀴 모두 교체해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아울러 보관했던 겨울용 타이어를 교체하거나 장착하고 있는 타이어의 마모 한계선을 확인해야 합니다.
마모가 심각하게 일어난 타이어는 홈의 깊이가 얕아 지면과의 마찰력이 약해져 미끄러운 빙판길 운행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