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진압 어려운 전기차... 화재 사고에서 살아남기

입력 : 2022.12.08 16:19 수정 : 2022.12.08 17:01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 전기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관련 사고도 함께 늘고 있습니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차에 비해 유지비가 저렴하고 소음이 적어 이용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1월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210월 자동차산업 동향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누적 전기차 판매량은 365000대로 전년도 연간 판매 실적(348000)을 초과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하지만 전기차가 인기를 끌면서 전기차 화재 사고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지난 5, 경북 영주에서 건물 외벽을 들이받은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차량은 충돌 후 불길에 휩싸였고, 소방 당국은 차량 13, 인력 41명을 투입해 1시간 50분 만에 불을 진화했지만 해당 사고로 70대 운전사가 사망했습니다.  

 

앞서 지난 6월에는 부산 강서구 남해고속도로에서 전기차가 충격흡수대를 들이 받고 불길에 휩싸여 차량 안에 있던 30대 남성과 40대 여성이 탈출하지 못하고 사망했습니다.

 

소방청에 따르면 전기차 화재는 20171, 183, 197, 2011건으로 꾸준히 늘어 지난해 23건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전기차에 탑재되는 리튬이온배터리는 주행거리를 늘리는데 효과적이지만 내부 열과 그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면 진화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지적돼왔습니다. 또한 전기차 배터리는 철제로 덮여 소화 물질이 침투하기 어렵고 배터리 전압이 높아 가까이 접근해 물을 뿌리면 감전될 위험이 있습니다.

 

이에 전기차 화재에 대해 전문가들은 화재가 발생했을 때는 우선 최대한 빠르게 대피할 것을 당부합니다. 테슬라 화재 대응 매뉴얼에 따르면 배터리 화재에는 약 11300L의 물이 필요한데 이는 중형소방펌프차 5대가 조달할 수 있는 양입니다.

 

지하주차장 등 밀폐된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는 유독 가스로 인해 의식을 잃고 사망할 수 있어 빠르게 대피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흔히 전기차는 모든 것이 전자식으로 작동해 불이 붙어 전원이 차단되면 문을 열 수 없을 거라는 인식이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전기차에는 유사시에 수동으로 문을 열 수 있는 기계식 개폐 장치가 마련돼 있어 사전 숙지가 필요합니다.

 

화재 차량 내부에 정신을 잃고 쓰려져 있는 사람이 발견했을 때는 창문을 깨야 한다고 합니다. 일부 전기차는 외부에서 문을 열 수 없는 구조로 돼 있어 창문을 깨야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때 팔꿈치, 발길질 등으로는 단단한 차량의 강화유리를 깨기 어려워 뾰족한 물체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일한 만큼 대가 주어야 합니다

2

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3

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4

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5

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6

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