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기가팩토리' 한국에 유치할 수 있을까?
▷ 산업통상자원부-코트라, 테슬라 투자 유치 전담팀 구성
▷ 세계적으로 거대한 규모의 '기가팩토리'... 배터리 생산량 상당해
▷ 머스크 CEO, "한국은 최우선 투자 후보지 중 한 곳"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테슬라 기가팩토리 유치 위해 맞춤형 지원하겠다”고 29일 밝혔습니다.
자산만 45조가 넘는 글로벌 대기업 ‘테슬라’가 한국에 공장을 짓기만 한다면 정부가 직접 나서 물심양면으로 지원하겠다는 이야기인데요. 산업통상자원부와 코트라(KOTRA)가 테슬라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전담팀을 구성한다는 계획입니다.
윤 대통령은 지난 23일, 테슬라의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와 화상 면담을 진행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은 “전기차 시대를 개척하고 있는 테슬라와 세계 최초의 궤도 발사체 재활용 등에 성공한 스페이스X사의 혁신적인 성과를 높이 평가하면서, 이를 주도해온 머스크 CEO의 노고에 대해 치하하고 앞으로도 성공적인 혁신을 이뤄내길 바란다”며, 머스크 CEO에 대한 칭찬으로 말문을 열었습니다.
윤 대통령은 머스크 CEO에게 한국에 대한 투자를 요청했습니다. 국내 자동차 산업 생태계의 수준이 세계적이며 투자 여건도 상당히 좋다며, 테슬라가 향후 아시아에 건설하려는 기가팩토리를 한국에 지어 달라고 이야기했는데요.
테슬라가 아시아에 건설하려는 ‘기가팩토리’는 대규모 리튬 이온 배터리 생산 공장입니다.
현재 기가팩토리에선 테슬라의 전기차 ‘Model 3’의 전기 모터 및 배터리 팩과 'Powerwall/Powerpack'이라는 에너지 저장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는데요.
윤 대통령이 이 기가팩토리를 한국에 지을 것을 독려하는 이유는 그 경제적 효과 때문입니다.
먼저, 기가팩토리의 규모는 전세계적으로 상당합니다. 미국 네바다주 스파크스 외각에 자리한 기가팩토리의 구조물 면적은 약 18만 평방미터, 사용하고 있는 건물의 공간만 약 49만 2천 평방미터 이상입니다.
2018년 중반 기준, 기가팩토리의 배터리 생산량은 연간 약 20GWH 수준, kWh로 따지면 다른 모든 자동차 기업의 배터리 생산량을 합친 것보다 테슬라의 배터리 생산량이 더 많습니다.
즉, 기가팩토리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한국의 자본이 대거 투입될 가능성이 높고, 공장을 완성하고 나면 대규모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2014년, 테슬라는 기가팩토리 건설로 인해 6,500명 분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전망한 바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배터리 수요가 늘면서 국내 배터리 및 전기차 부품업체들에게도 여러모로 호재입니다.
참고로, 당시 미국 네바다주는 기가팩토리를 유치하기 위해 개인소득세, 부동산세 감면 등 세제 혜택과 근로자 한 명당 최대 1000달러에 달하는 근로자 훈련 기금을 지원하겠다고 제안한 바 있습니다.
인근 캘리포니아주 프리몬트에는 다른 테슬라
공장이 있어 지리적인 이점도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는데요. 캘리포니아주, 텍사스주 등 다른 쟁쟁한 후보를 물리치기 위해 공약을 내세운 셈입니다.
머스크 CEO는 윤 대통령의 발언에 긍정적으로 화답했습니다. 그는 “한국을 최우선 투자 후보지 중 하나로 고려하고 있다”며, “아시아 후보 국가들의 인력 및 기술 수준, 생산 환경 등 투자 여건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정을 내리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머스크 CEO는 “지금도 테슬라가 자율주행이나 인공지능 관련 분야에서 한국의 우수한 부품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며, “한국 기업들과의 공급망 협력도 대폭적으로 확대해 2023년에는 한국 기업으로부터의 부품 구매금액이 약 13조 원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습니다.
머스크 CEO가
직접 테슬라와 한국이 여러모로 좋은 경제적 파트너였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점을 짚은 셈입니다.
한편, 윤 대통령은 테슬라의 투자 유치를 위해 “걸림돌이 있는 불합리한 규제가 있다면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게 개혁해 나가겠다”며 의지를 다졌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