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1분 내외의 짧은 영상인 이른바 숏폼의 대중화로 인한 도파민 중독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직장인 10명 중 3명은 숏폼 중독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HR테크기업 인크루트가 직장인 870명을
대상으로 ‘숏폼 시청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27.4%가 ‘네(그렇다)’라고 답했다고 7일 밝혔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숏폼 중독이라고 답한 응답자들을 연차별로 분석한 결과, ▲3~5년차가 40.4%로 ‘중독이다’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뒤이어 ▲6~8년차(33.0%) ▲0~2년차(29.7%)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대별로는 ▲20대 응답자의 48.9%가
‘중독이다’라고 답해 전 연령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이어 ▲30대의 30.9%가
중독이라고 답했습니다.
성별로는 여성이 35.4%로 남성(21.0%)에
비해 ‘숏폼 중독’이라고 답한 비율이 높았습니다.
직장인들이 숏폼을 시청하는 플랫폼으로는 ▲’유튜브’가 63.9%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인스타그램(23.2%)으로 나타났고, 틱톡, X(옛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는 한 자리수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숏폼을 시청하는 이유로는 45.1%의 응답자가 ▲’짧은 시간에 많은 콘텐츠를 볼 수 있어서’라고 답했습니다.
이어 32.3%의 응답자는 ▲’별다른
이유는 없고 습관적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전문가들은 숏폼 중독에서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아예 보지 않는
것이 답”이라고 말했습니다.
유튜브 닥터프렌즈에 출연한 정희원 서울 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는 “숏폼
영상은 더 빠르게 많은 도파민을 얻을 수 있는 합성 마약과 비슷하다”라며 “사람이 마약이나 술에 중독되면 일상생활에서 아무런 느낌을 받지 못하게 되는데 숏츠 역시 이와 같은 뇌가 되는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정 교수는 이어 “(숏츠 영상에 중독되면) 정상적인 것들에 집중하기가 힘들어지고 불필요한 곳에 시간을 많이 쓰게 되기 때문에 시작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세상의 자극들이 갈수록 더 격해지고 강해지기 때문에 이런
자극 속에서 스스로를 지키지 않으면 가속 노화가 될 수 있다”라고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우선 상법개정 정책 토론회를 주관해 주신 민주당과 계속해서 관련 기사를 써 주시는 이정원 기자님께 감사합니다 내 자산이 동결되고 하루 아침에 상폐되어 삶이 흔들려도 상폐사유서 조차 볼 수 없는 지금의 상법은 너무나 구 시대적 유물입니다 시대는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허위공시~! 그것을 복붙하여 사실인양 옮겨 퍼 나르던 유튜버들~! 정보에 취약한 개인투자자들은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스러져갔습니다. 시대가 변했음에도 한국거래소는 기업의 거짓핫이슈에 대해 모니터링 및 관련자료를 확인하지 않았고 배임횡령에 가담한 이사들은 주주의 이익은 안중에도 없었습니다 이사충실의무! 주주에게까지 확대해야 한국 주식시장도 질서가 잡힐거라 확신합니다
2주주들을 자기들 배나 채우는 도구로만 보니 이화3사 처럼 배임 횡령으로 개인투자자 들만 죽어나고 배임횡령한 자는 잘살게하는게 이나라 상법입니다 얼마나 더 주주들이 피눈물을 흘리고 삶을 놓아야 제대로 된 상법개정을 하실건가요 이화그룹 주주연대는 상법개정을 원합니다
3상법개정 꼭 필요합니다 그래야 국가도 기업도 개인도 행복해집니다
4이화3사 경영진과 김영준은 소액주주들에 피같은 돈을 공시 사기쳐 배를 채운 악덕기업입니다. 다시는 이런일이 없게 개인투자자들을 보호하려면 상법개정이 절실합니다
5주식시장이 이렇게도 상황이 안좋은데, 상법개정이 통과되어 주식시장 선진화를 통해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기 바랍니다. 또한 이화그룹주주연대 김현 대표님의 뜻처럼 거래정지와 상장폐지에 대한 고찰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으면 합니다.
6개인투자자를 위해 상법개정 반드시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이정원 기자님 수고 많으십니다.
7개인 투자자의 보호를위해서 상법 개정으로.. 이화그릅 주주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