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5월 황금연휴 기간동안 전 세계 여행자들이 가장 많은 찾은 도시로 ‘서울’이 꼽혔습니다.
글로벌 원스톱 여행 서비스 기업인 트립닷컴 그룹에 따르면 전 세계 여행지 중 노동절을 포함한 5월 황금연휴 기간동안 전 세계 여행자들이 가장 많이 찾은 도시로 서울과 도쿄,
방콕, 홍콩, 타이페이가 꼽혔습니다.
해당 기간동안 동양권 도시들이 가장 인기 있는 여행지 5곳에 선정된
이유는 일본 골든위크(4월29일~5월5일)과 중국 노동절(5월 1~3일) 등 아시아권
중심으로 굵직한 연휴가 5월 초 집중되면서 지역내 단거리 여행객들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실제로 트립닷컵이 올해 5월 골든위크(4.27~5.6)에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여행자들에 관한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골든위크 대비 항공, 호텔, 관장지 등의
예약이 182%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외국인 여행자가 한국에서 가장 많이 방문한 도시는 ▲서울시
▲제주시 ▲부산시 ▲인천시 ▲서귀포시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가장 많이 예약된 투어 및 티켓은 ▲우도 일일투어를 비롯해 ▲서울페스타 2024 연계 일일투어 ▲에버랜드
▲쇼뮤지컬 와일드와일드 ‘애프터파티’ ▲레고랜드 등이 포함됐습니다.
한편 서울시가 주최하는 서울 대표 봄축제인 서울페스타에 카카오프렌즈가 참여합니다.
카카오는 황금연휴 기간 서울 곳곳에서 카카오프렌즈를 활용한 행사로 나들이객들과 관광객들에게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할 계획입니다.
카카오는 5월 1일부터 6일까지 광화문광장에서 라이언과 춘식이로 꾸며진 포토존을 운영합니다.
포토존에는 6m가 넘는 초대형 라이언과 춘식이 애드벌룬이 설치되며, 라이언과 춘식이가 그려진 포토카드를 나눠주는 이벤트도 진행합니다.
또한 한강에서는 ‘프렌즈와 떠나는 별빛 여행’을
주제로 드론 라이트 쇼가 펼쳐집니다.
1000여 대의 드론이 라이언과 춘식이의 탄생 세계관과 K-컬처를 즐기는 라이언과 춘식이의 모습을 그려내며 한강의 밤하늘을 수놓을 예정입니다.
드론쇼는 5월 6일 저녁 8시 잠실한강공원에서 관람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라이언&춘식 인스타그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