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무념무상, 아무것도 하지 않는 사람이 1등이 되는 서울의 대표적인 이색 이벤트, 서울시 ‘한강 멍 때리기 대회’가 다음 달 12일 반포한강공원 잠수교에서 열립니다.
서울시는 “올해로 10년째를
맞는 ‘멍 때리기 대회’는 바쁘게 돌아가는 현대사회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은 뒤쳐지거나 무가치한 것이라는 사회적 통념을 깨려는 목적으로 시작됐다”라며 “’2024 한강 멍 때리기’에 참가할 진정한 고수를 찾는다”라고 26일 밝혔습니다.
올해는 총 70팀을 선발(1팀장
최대 3명 참가)할 예정이며, 참가를 원하는 시민은 26일부터
29일까지 멍 때리기 대회 공식 누리집,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참여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대회 참가자는 90분 동안 어떤 행동도, 아무 생각도 하지 않고 멍한 상태를 유지하면 됩니다.
대회 중에 선수들은 말을 할 수 없는 대신 의사를 표시할 수 있는 색깔 카드를 제시해 물, 부채질 등 총 4가지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멍 때리기에 실패하면 ‘퇴장 카드’를 받고 저승사자 복장을 한 진행자에 의해 경기장 밖으로 끌려 나가게 됩니다.
대회 우승자는 ‘심박수 그래프’와
‘현장 시민투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정됩니다.
우선 참가자들이 착용한 암밴드형 심박 측정기를 15분마다 확인해 작성되는
심박수 그래프를 바탕으로 점수를 부여합니다.
또한 현장에서 대회를 관람한 시민의 투표 점수를 합산해 최종 1, 2, 3등과
특별상 수상자를 가립니다.
1등에게는 트로피와 상장, 2~3등에게는
상장을 수여합니다. 아울러 참가선수 전원에게는 ‘2024 한강
멍 때리기 대회’ 참가인증서를 수여합니다.
한편 멍 때리기 대회는 지난해 대회 선수 선발 경쟁률이 45대 1에 달할 정도로 뜨거운 관심을 받았습니다.
이처럼 멍 때리기 대회가 인기를 끌고 있는 이유에 대해 한 전문가는 “대한민국 사회는 뇌를 휴식하기 어려운 환경이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유튜브 ‘사피엔스 스튜디오’에
출연한 유명 인지심리학자 김경일 교수는 “멍 때리기가 유행이라는 것은 그만큼 우리 사회가
뇌를 쉬게 만들기 어려운 생활을 계속해왔기 때문”이라며 “가장 자연스러운 상태로 돌아가기 위해서 (멍때리기 대회 등) 억지로 조건을 만들어서 멍 때리는 일을 하게 된다”라고
설명했습니다.
김 교수는 이어 멍 때리기가 뇌를 쉬게 만들어 ▲피로감 개선 ▲집중력 향상
등의 효과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멍 때리는 행동은 뇌를 쉬게 해준다는 연구는 많이 있다”라며 “엘리자베스 니스벳 심리학과 부교수에
따르면 멍 때리기를 산림욕과 비슷하다고 말했다. 산림욕은 스트레스, 협악, 심박수 등을 줄여주는데, 멍 때리기도 자연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기
때문에 산림욕과 매우 흡사하다”고 말했습니다.
김 교수는 이어 “멍 때리기를 통한 뇌 피로의 회복은 일이나 행동 등에 대한 생산성과 효율을 높여주는 효과도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