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행정안전부가 야외활동하기 좋은 계절을 맞아 캠핑을 즐기는 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화재 등 안전사고 발생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24일 밝혔습니다.
행안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캠핑 이용자는 한 해 평균 540만명 이상이며, 지난 2022년에는 584만명이
캠핑을 즐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캠핑은 날씨가 따뜻해지는 4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여름 휴가철에 가장
많이 가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다만, 캠핑장 이용이 많아질수록 바비큐, 모닥불 놀이, 요리 등으로 인한 화재 발생 위험도 함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3년(2021~2023)간
캠핑 중 발생한 화재는 176건이며 4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고, 이 중 절반 이상(53%)이 불씨나 가연물 근접 방치 등 부주의가
주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캠핑을 할 때는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몇 가지 안전 수칙을 철저히 지킬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바비큐나 모닥불 놀이 등으로 불을 피울 때는 화로를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잔불 정리를 철저히 해 화재를 예방해야 합니다.
아울러 전기연장선을 사용할 때는 전선의 과열이나 피복 손상 등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어 선을 끝까지 풀어서
사용하고, 하나의 콘센트에 여러 개의 전기제품을 연결하거나, 플러그와
콘센트 등이 물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휴대용 가스레인지로 음식을 조리할 때는 삼발이 받침보다 작은 불판과 냄비를 사용해 과열로 인한 사고를 예방합니다.
특히 밀폐된 텐트 안에서 숯 등을 활용한 난방을 화재와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어, 잠을 잘 때는 침낭이나 따뜻한 물주머니 등을 활용해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한편 티몬은 캠핑장에서 잘 먹고 잘 마시는 ‘먹핑족’이 증가함에 따라 인기 캠핑용품을 최대 50% 할인 판매합니다.
티몬은 최근(1.1~4.22) 고객들의 소비 트렌드를 살펴본 결과, ▲캠핑용 냄비와 프라이팬 거래액은
338% 늘었고 ▲그릴 178% ▲가스/연료 118% ▲보관용기 115% 등
조리도구 거래액이 크게 상승했다고 밝혔습니다.
주요 식품류 구매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삼겹살 30% ▲등심 52% ▲상추/깻잎 65% 등 신선 식재료가 인기를 끌었습니다.
아울러 ▲라면/컵라면 322% ▲즉석밥 268% ▲찌개류
90% 등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즉석 식품도 많이 찾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동기간 감성 캠핑 용품 거래액도 51% 상승했으며, ▲랜턴걸이/스텐드 768% ▲가스/등유랜턴 157% ▲LED랜턴
30%가량 증가했으며, 해먹∙캠핑가방,파라솔 등 ‘감성 캠핑’에
대한 수요도 꾸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티몬은 캠핑용품 카테고리를 상시 운영하고 약 100만개 상품을 선보입니다.
또, 오는 28일까지 주요 파트너사와
협업해 인기 캠핑 상품들을 최대 50% 할인판매하고 고객들의 알뜰 쇼핑을 지원할 방침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