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봉준호 감독, 배우 김의성 등 문화예술인들이 마약 투약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다 숨진 배우 이선균 사건의 진상규명을 촉구했습니다.
문화예술인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는
12일 오전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故) 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요구’ 성명을 발표하며 이같이 요구했습니다.
영화 ‘기생충’ 등으로
이선균과 호흡한 봉준호 감독을 비롯해 배우 김의성, 가수 윤종신, 이원태
감독이 돌아가며 성명을 읽었습니다.
봉준호 감독은 “고인의 수사에 관한 정보가 최초 유출된
때부터 극단적 선택이 있기까지 2개월여 동안 경찰의 보안에 한치의 문제가 없었는지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봉 감독은 이어 “고인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정밀 감정에서
마약 음성 판정을 받은 뒤 KBS 보도에는 다수의 수사 내용이 포함됐는데, 어떤 경위로 이것이 제공됐는지 면밀히 밝혀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고인의 경찰 출석 정보를 공개해 고인이 언론에 노출되지
않도록 대비하는 어떤 조치도 취하지 않은 게 적법한지 명확히 밝혀 달라”며 “그래야 제2, 제3의 희생자를
막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성명서는 김동호 전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배우 송강호 등 영화계
종사자 2천여 명의 뜻을 모아 만들어졌습니다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한국독립영화협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감독조합, 한국방송연기자노동조합, 한국매니지먼트연합 등 단체 29곳도 참여했습니다.
이선균은 마약을 투약한 혐의로 지난해 10월부터 경찰 수사를 받다가
12월 27일 성북구의 한 주차장에 세워진 차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그는 수사 과정에서 억울하다는 입장을 밝혀왔으며 사망 전날에는 거짓말탐지기 조사를 의뢰하기도 했습니다.
이선균 사망 이후 일각에서는 그의 마약 혐의와 관련성이 적은 사생활 폭로식 언론 보도와 경찰의 공개 소환 등에
대한 지적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한편 경찰은 이선균 사망 사건과 관련해 "강압수사는 없었다"라고 밝혔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모든 조사는 피의자 이선균 씨의 동의를
받아서 진행했다”며 “피의자가 자진출석해
경찰 조사에 응했고 변호사 2명이 참석했다. 강압적인 것이
있었으면 항의했을 것이다. 수사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전체 조사 과정은 영상으로 녹화돼 있다. 강압적인 부분은 없었다”며 “수사 중에 돌아가신 점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
6와~~이런 개***회사가 코스닥에 상장 했다니..ㅠ 힘으로 밀어 부치며 불법과 사기로 회사 재무도 건전한 회사가 고의로 상폐시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액주주들 몫!!!ㅠㅠ
7믿지못할 일이 눈앞에서 벌어졌네요. .도대체 주주총회에 왜 주주가 입장이 안되는거죠? 말만 주주총회 입니까!! 이 어처구니없는 사실들이 널리 알려져야겠어요.피같은돈 그냥 지들맘대로 없애려 하다니 대유경영진은 전원 사퇴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