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봉준호 감독, 배우 김의성 등 문화예술인들이 마약 투약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다 숨진 배우 이선균 사건의 진상규명을 촉구했습니다.
문화예술인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는
12일 오전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故) 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요구’ 성명을 발표하며 이같이 요구했습니다.
영화 ‘기생충’ 등으로
이선균과 호흡한 봉준호 감독을 비롯해 배우 김의성, 가수 윤종신, 이원태
감독이 돌아가며 성명을 읽었습니다.
봉준호 감독은 “고인의 수사에 관한 정보가 최초 유출된
때부터 극단적 선택이 있기까지 2개월여 동안 경찰의 보안에 한치의 문제가 없었는지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봉 감독은 이어 “고인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정밀 감정에서
마약 음성 판정을 받은 뒤 KBS 보도에는 다수의 수사 내용이 포함됐는데, 어떤 경위로 이것이 제공됐는지 면밀히 밝혀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고인의 경찰 출석 정보를 공개해 고인이 언론에 노출되지
않도록 대비하는 어떤 조치도 취하지 않은 게 적법한지 명확히 밝혀 달라”며 “그래야 제2, 제3의 희생자를
막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성명서는 김동호 전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배우 송강호 등 영화계
종사자 2천여 명의 뜻을 모아 만들어졌습니다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한국독립영화협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감독조합, 한국방송연기자노동조합, 한국매니지먼트연합 등 단체 29곳도 참여했습니다.
이선균은 마약을 투약한 혐의로 지난해 10월부터 경찰 수사를 받다가
12월 27일 성북구의 한 주차장에 세워진 차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그는 수사 과정에서 억울하다는 입장을 밝혀왔으며 사망 전날에는 거짓말탐지기 조사를 의뢰하기도 했습니다.
이선균 사망 이후 일각에서는 그의 마약 혐의와 관련성이 적은 사생활 폭로식 언론 보도와 경찰의 공개 소환 등에
대한 지적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한편 경찰은 이선균 사망 사건과 관련해 "강압수사는 없었다"라고 밝혔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모든 조사는 피의자 이선균 씨의 동의를
받아서 진행했다”며 “피의자가 자진출석해
경찰 조사에 응했고 변호사 2명이 참석했다. 강압적인 것이
있었으면 항의했을 것이다. 수사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전체 조사 과정은 영상으로 녹화돼 있다. 강압적인 부분은 없었다”며 “수사 중에 돌아가신 점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