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수능날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는 비법은?

입력 : 2023.11.13 16:45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온 국민의 관심이 집중되는 수능이 사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수능 당일 컨디션을 최상으로 유지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사회탐구 스타강사로 유명한 이지영 강사는 지난 6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수능 전 반드시 체크해야 할 꿀팁을 공개했습니다.

 

우선 이지영 강사는 수능 직전 신체리듬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지영 강사는 수험생들은 지금 고도의 스트레스 상태에서 공부를 오랫동안 해왔기 때문에 신체 리듬 밸런스가 무너져 있는 경우가 많다라며 이때 학생들은 일찍 자면 죄책감을 느끼고 수능 직전에 막판 스퍼트하겠다고 새벽까지 공부하려는 욕심 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수능 당일의 컨디션을 최상으로 만드는 것도 공부고 수능 준비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이지영 강사는 수능 당일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해야 되는 과목으로 국어를 꼽았습니다.

 

이지영 강사는 국어는 컨디션에 따라 점수의 갭(격차)가 크다수능날 국어 영역에서 가장 온전하게 정신이 피크로 올라올 수 있으려면 최소 3시간 전엔 일어나야 한다. 수능 전에는 축구 선수가 시차 적응하듯이 일찍 일어나서 뇌를 온전히 깨운 상태로 국어 영역을 보기 위한 연습을 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이어 수능 당일에는 아침 식사를 꼭 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이지영 강사는 우리의 머리를 구동시키는 것은 포도당인데, 포도당이 공급되지 않으면 뇌가 가동되지 않는 거다빈속에 시험 보는 게 편해라고 생각했던 사람은 연료 없이 (뇌를) 돌리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평소에 아침을 먹지 않았던 사람이라도 밥 한 숟가락이라도 먹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수능 당일 점심시간에 타인의 말에 의해 감정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혼자 밥을 먹고, 빈속에 커피를 먹거나 에너지 음료를 마시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지영 강사는 수능을 대비해 과목별 요약노트를 준비하기 위한 매직 공부법을 소개했습니다.

 

이지영 강사는 “(매직 공부법은) 지금까지 공부했던 교재들을 과목별로 쌓아놓고 하루에 한 과목씩 교재를 한장씩 넘기면서 수능 전에 다시는 안 보고 이 교재를 버린다고 해도 상관없는 문제를 매직으로 자신있게 지우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빨간색으로 별표를 쳤거나 형광팬으로 체크한 문제는 다시 한번 봐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이어 “(교재를) 넘기다보면 인강 강사, 현강 강사, 학교 선생님 그리고 너희가 강조해 놓은 것들이 보이고 다시 꼭 봐야했던 문제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그중에서 A4에 옮겨 적을 건 옮겨적고 꼭 필요한 문제는 가위로 오려서 모아놓으라고 조언했습니다.

 

이지영 강사는 매직 공부법에 대해서 “(매직 공부법을 해보면) 1년 동안 내가 공부를 한 것 같은 느낌, 마무리 정리하고 가는 것 같은 느낌, D-1일에 뭘 봐야 될지 아는 느낌이 온다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

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

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

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

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

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

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