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여름엔 러브버그 가을엔 이 벌레 때문에 난리난 서울

입력 : 2023.10.23 17:20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지난 여름 일명 러브버그가 서울 도심에 대거 출몰해 시민들에게 불쾌감을 준 데 이어 올가을에는 미국흰불나방 유충이 등장해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지난 22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미국흰불나방 유충에 대한 목격담이 이어졌습니다.

 

누리꾼들은 한강 벤치에 앉아있는데 송충이가 엄청나게 붙어있는 것을 봤다, 송충이가 가득한 한강, 한강 놀러갔다가 송충이가 끝도 없이 등장했다 등 불편함을 토로했습니다.

 

하지만 이 벌레의 정체는 송충이가 아닌 미국흰불나방 유충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얀 털로 뒤덮인 미국흰불나방은 활엽수 잎을 갉아먹어 고사에 이르게 하는 해충으로 1958년 국내에 유입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산림청은 지난 8월 말 경기충북∙경북∙전북 등 전국적으로 미국흰불나방의 밀도 증가가 확인되고 있다며 발생 예보 단계를 관심’(1단계)에서 경계’(3단계)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김민중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박사는 산림청 조사 결과 미국 흰불나방 유충으로 인한 피해율이 지난해 12%에서 올해 27~28%로 배 이상 증가했다올해 (유충이) 많이 나올 경우 내년에도 많이 발생할 위험이 있어 경계로 발생 예보 단계를 높였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미국흰불나방 유충이 유독 많이 목격되는 것에 대해서는 개체수가 늘어난 것을 이상기후 때문이라고만 보기는 어렵지만 올해의 경우 가을철 온도가 높다는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습니다.

 

미국흰불나방은 활엽수잎에서 알을 무더기로 낳고 벌레집 안에 숨어 활동을 하는 특성 탓에 방제가 쉽지 않습니다.

 

아울러 시민들의 목격담이 빗발치고 있는 한강공원의 경우, 상수도 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어 살충제 등 화확약품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점도 방제에 발목을 잡을 것으로 보입니다.

 

, 미국흰불나방 유충을 만질 경우, 피부 염증을 유발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23YTN에 출연한 양영철 을지대 보건환경안전학과 교수는 미국흰불나방은 알부터 성충까지 모든 생활사에서 독모를 가지고 있다피부에 닿으면 혈액에 용혈돼서 독 작용을 일으키는데 이게 피부 염증을 유발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양 교수는 이어 “(미국흰불나방 유충은) 많은 독모를 갖고 있기 때문에 용혈 작용에 의해서 그 부위뿐만 아니라 그 주변으로 해서 빨갛게 두드러기처럼 빨갛게 올라온다면서 그 다음에 굉장히 따갑고 가려운 피부 염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접촉에는 상당히 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