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지난 여름 일명 ‘러브버그’가 서울 도심에 대거 출몰해 시민들에게 불쾌감을 준 데 이어 올가을에는 미국흰불나방 유충이 등장해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지난 22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미국흰불나방 유충에 대한 목격담이
이어졌습니다.
누리꾼들은 “한강 벤치에 앉아있는데 송충이가 엄청나게 붙어있는
것을 봤다”, “송충이가
가득한 한강”, “한강
놀러갔다가 송충이가 끝도 없이 등장했다” 등
불편함을 토로했습니다.
하지만 이 벌레의 정체는 송충이가 아닌 미국흰불나방 유충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얀 털로 뒤덮인 미국흰불나방은 활엽수 잎을 갉아먹어 고사에 이르게 하는 해충으로 1958년 국내에 유입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산림청은 지난 8월 말 “경기∙충북∙경북∙전북 등 전국적으로 미국흰불나방의 밀도 증가가 확인되고 있다”며 발생 예보 단계를 ‘관심’(1단계)에서 ‘경계’(3단계)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김민중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박사는 “산림청 조사 결과 미국 흰불나방 유충으로 인한 피해율이
지난해 12%에서 올해 27~28%로 배 이상 증가했다”며 “올해 (유충이) 많이 나올 경우 내년에도 많이 발생할 위험이 있어 경계로
발생 예보 단계를 높였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미국흰불나방 유충이 유독 많이 목격되는 것에 대해서는 “개체수가 늘어난 것을 이상기후 때문이라고만
보기는 어렵지만 올해의 경우 가을철 온도가 높다는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습니다.
미국흰불나방은
활엽수잎에서 알을 무더기로 낳고 벌레집 안에 숨어 활동을 하는 특성 탓에 방제가 쉽지 않습니다.
아울러
시민들의 목격담이 빗발치고 있는 한강공원의 경우, 상수도 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어 살충제 등 화확약품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점도 방제에 발목을 잡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 미국흰불나방 유충을 만질 경우, 피부 염증을 유발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23일
YTN에 출연한 양영철 을지대 보건환경안전학과 교수는 “미국흰불나방은
알부터 성충까지 모든 생활사에서 독모를 가지고 있다”며 “피부에 닿으면 혈액에 용혈돼서 독 작용을 일으키는데 이게 피부 염증을 유발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양
교수는 이어 “(미국흰불나방 유충은) 많은 독모를
갖고 있기 때문에 용혈 작용에 의해서 그 부위뿐만 아니라 그 주변으로 해서 빨갛게 두드러기처럼 빨갛게 올라온다”면서 “그 다음에 굉장히 따갑고 가려운 피부 염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접촉에는 상당히 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