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배우 이선균에 이어 가수 지드래곤(본명 권지용)까지 마약 투약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지드래곤이 혐의 사실을 정면으로 부인하고 나섰습니다.
지드래곤은 27일 변호인을 통해 공식 입장문을 내고 “우선 저는 마약을 투약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지드래곤은 “또한 최근 언론에 공개된 ‘마약류 관리 법률 위반’에 관한 뉴스 보도 내용과도 무관하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다만 많은 분이 우려하고 계심을 알기에 수사기관의
조사에는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보다 성실히 임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앞서 지난 25일 인천경찰청 마약범죄수사계는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지드래곤을 입건해 수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경찰은
지드래곤 사건은 이선균의 마약 투약 사건과는 관련이 없는 별건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지드래곤이 마약 혐의로 입건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지드래곤의 비틀거리는 행동과 어눌한 말투 등이 담긴 최근
영상이 재조명되기도 했습니다. 
뉴스엔이 유튜브에 공개한 영상에 따르면 지드래곤은 지난 4월 해외 일정을 위해 서울 김포국제공항을 통해 출국하는
과정에서 어딘가 불편한 듯 팔과 목 등을 끊임없이 움직이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이후 5월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출국할 때 역시 차에서 내린 뒤 몸을
비비꼬거나 쓰고 있던 모자를 벗었다 썼다를 반복하는 등 가만히 있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에 해당 영상의 댓글에는 “지용 오빠 약했어요?”, “진심 걱정되는데 몸을 저렇게 한시도
가만히 못 있을 수 있나”라는 우려 섞인 댓글이 달리기도 했습니다. 
한편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은 마약 혐의 등 범죄 행위로 처벌받은 연예인 등에게 모든 방송사 프로그램 출연을 법적으로
제한할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26일 밝혔습니다.
이날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방통위 종합감사에서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은 “유아인씨에 이어 이선균씨, 지드래곤이 마약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고
있어 사회적 파장이 매우 크다”며 “국민들이
분노하는 점은 마약사범들이 잠깐 자성했다가 다시 억대 출연료를 받고 방송에 복귀한다는 점”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이 위원장은 “지금은 잘 아시겠지만 KBS, MBC 등 방송사가 자체 내부 규정으로 하고 있지만, 좀
더 일반화할 수 있는지 검토해 시행하겠다”고 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